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통화했지만…우크라 휴전 불투명

  • 트럼프 "러·우크라, 협상 즉시 시작…협상 결렬 시 중재서 물러날 것"

  • 푸틴 "전쟁 근본원인 제거" 강조…젤렌스키 "협상 美·유럽 참여해야"

왼쪽부터 푸틴 러시아 대통령-트럼프 미국 대통령-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사진EPA·AP·연합뉴스
왼쪽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사진=EPA·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놓고 2시간 넘게 통화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푸틴 대통령과 2시간 넘게 통화했다며 “대화의 톤과 정신이 훌륭했다. 매우 잘 됐다고 믿는다”고 자찬했다. 특히 그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과 더 중요한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이뤄지면 양국 모두 미국과의 교역 등에서 큰 수혜를 입을 수 있다며 전후 사업에 대한 청사진도 제시했다. 이는 휴전에 소극적인 러시아에 대한 압박 대신 낙관론을 제시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나 종전 협상에 진전이 있을 것을 기대한다면서도 “협상이 이뤄질 것 같지 않으면 물러날 것”이라고 유보적 자세를 나타냈다. 협상 진전이 없을 시 중재에서 손을 떼겠다는 언급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전쟁의 책임이 우크라이나와 서방에 있다는 기존 입장만 반복했다. 그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 측에 향후 가능한 평화 협정에 대한 각서를 제안하고 협력할 준비가 됐으며 적절한 합의에 도달하면 휴전할 수 있다”면서도 “중요한 것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추진 등으로 서방이 자국의 세력권을 위협한 것이 전쟁의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해 왔다.
 
미국 매체들은 두 정상의 통화에 대해 혹평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직접 대화를 강조한 것은 즉각적인 휴전을 거부해 온 푸틴 대통령을 사실상 지지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두 정상의 통화는 휴전을 위한 돌파구를 만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우크라이나는 ‘다자간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후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등이 참여하는 고위급 회의를 가능한 한 빨리 개최하는 것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소로는 튀르키예, 바티칸, 스위스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협상 조건과 관련해서는 “러시아가 우리 영토에서 철군할 것을 요구한다면 이는 휴전이나 종전을 원치 않는다는 의미”라고 잘라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