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다이먼 CEO "시장 안일해…관세·지정학 등 리스크 과소평가"

  • "인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예상보다 커"

  • "신용 스프레드 경기 침체 가능성 반영 못 해"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가 1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글로벌 마켓 컨퍼런스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가 1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글로벌 마켓 컨퍼런스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미국 최대 자산은행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시장이 재정적자, 관세 정책, 인플레이션 등 주요 리스크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고 경고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다이먼 CEO는 이날 뉴욕에서 열린 연례 JP모건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인플레이션 상승 및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의 가능성이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크다"며 "미국 자산 가격이 여전히 높고, 신용 스프레드는 경기 침체 가능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용 스프레드는 안전자산인 국채와 위험자산인 회사채 간 금리 차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 투자자들이 위험 회피 성향을 보이면서 회사채 금리는 상승하고, 이에 따라 스프레드는 확대된다. 하지만 현재는 스프레드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시장이 신용 위험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다.
 
다이먼 CEO는 "심각한 경기침체를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은 신용시장에서 어떠한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 신용시장은 리스크가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한 관세 리스크와 관련해 "사람들이 꽤 낙관적인 건 아직 관세의 실제 영향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증시가 10% 떨어졌다가 10% 다시 올랐다. 이건 지나친 안일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전보다 낮아진) 현 수준에서도 관세는 상당히 극단적"이라며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대응할 지 알 수 없고 미국에서 제조업을 확대하는 데도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관세의 목적인 미국의 제조업 부흥에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고, 기업들의 실적 추정치는 더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다이먼 CEO는 지정학적 리스크 또한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