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텍스 2025] 젠슨 황 "美 수출 통제 실패… 中 중요한 시장"

  • "H20 판매 금지로 수십억 달러 손해"

  • "中 기술 개발 동기와 정부 지원 제공"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글로벌 미디어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 참석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글로벌 미디어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 참석했다. [사진=이성진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의 중국 수출 통제 정책이 실패했다고 밝혔다.

황 CEO는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글로벌 미디어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서 "H20이 중국에서 금지되면서 우리는 수십억 달러의 재고를 상각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는 많은 반도체 회사의 매출과 맞먹는 규모"라며 "그만큼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도 컸고 손해도 컸다"고 덧붙였다.

H20은 엔비디아가 중국에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인공지능(AI) 칩이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H20 수출도 제한했다.

황 CEO는 엔비디아가 H20 칩의 낮은 버전을 중국에 출시할 것이라는 일각의 추측을 일축했다. 그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Hopper) 아키텍처는 더 이상 추가로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며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황 CEO는 "중국 시장은 매우 중요하다"며 "전 세계 AI 연구자의 50%가 중국에 있으며, 딥시크도 엔비디아로 만들어졌다"며 "중국의 내년 AI 시장은 약 500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4년 전 바이든 행정부 초기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95%였지만 지금은 50%로 줄었고, 나머지는 중국 기술이 차지했다"며 "수출 통제는 중국 현지 기업들에게 개발을 가속화할 동기와 정부 지원을 제공했다. 결과적으로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