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지역·여성 만난' 국정위…"과학인력 정책 일원화해야"

  • '대학원생 지원금 확대·수도권 집중구조 해소' 등 제시

  • 국정委 "관련 정책 부처에 산재…국정과제 포함 고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이 30일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열린 제3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630 공동취재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이 30일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열린 제3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6.30 [공동취재]
이재명 정부의 5년 밑그림을 그리는 국정기획위원회는 3일 과학기술 인재정책 간담회를 열고 과학기술 인력 양성 정책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춘석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장은 이날 오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간담회를 열고 청년과학자 지원 확대, 고경력 은퇴 과학자 활약 강화, 처우 개선 등을 논의했다.

최근 학계에서는 학령인구 감소, 의대·수도권 대학 쏠림현상, 해외 인재 유출 등으로 인해 인재 확보와 처우 개선 등 전방위적 정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날 간담회에서 △이공계 대학(원)생 등 지원금 확대 △수도권 집중 구조 해소 △여성과학기술인 복귀 지원 강화 △연구실 안전 컨트롤 타워 구축 등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청년 과학인을 대상으로 장학금·연구생활장려금 대폭 확대와 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산·학·연 연계 인재양성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아울러 박사후연구원의 법적 지위를 보장하고, 신진연구자가 중견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선 지역 전략분야 연구개발(R&D) 투자와 함께 지역 인재가 정착할 수 있도록 지역 산·학·연 협력형 프로젝트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책적 사각지대였던 여성과학기술인의 복귀 지원 강화와 고경력 은퇴 과학자의 연구·사회 활동 지원 강화, 연구실 안전 세부 가이드라인 수립, 국가 차원의 연구실 안전 컨트롤 타워 구축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었다.

국정위는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 등이 여러 부처에 산재돼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해 지원 체계 일원화를 강조하는 한편, 과학기술 인력 양성 정책을 현장·지역·청년·여성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이 분과장은 "대한민국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인재 정책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이재명 정부는 대선 정책 공약으로 국가 차원의 지원 강화와 연구 전념 환경 조성을 제시한 만큼 의견들이 충실히 국정과제에 담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