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고배당 50지수는 올해 들어 26.09%, 코스피 배당성장 50지수는 30.9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27.01% 올라 코스피를 앞질렀다.
고배당 테마로도 자금도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PLUS 고배당주'에 연초 이후 4862억원이 유입됐다. 국내외 고배당 테마 ETF 중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됐다. 'PLUS 고배당주채권혼합'에도 1711억원이 유입됐다.
투자자의 관심이 고배당 종목으로 몰린 것으로 보인다. 2분기 배당과 함께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대감이 커지면서다. 이재명 대통령이 주식시장 부양 의지를 부각하면서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언급한 영향이다. 이 대통령의 취임 첫 외부 일정 역시 한국거래소였다.
지방세를 포함해 연 2000만원 이하는 15.4%, 연 2000만원 이상 3억원 이하 22%, 연 3억원 초과 27.5%를 적용한다. 배당소득세 개편의 구체적인 방안은 지난 16일 출범한 국정기획위원회가 여러 방향을 검토한 뒤 설계될 것으로 보인다.
현행 소득세법상 배당소득은 지방세 포함 15.4%의 세율로 원천징수된다. 연 2000만원이 넘는 배당소득세는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합산해 지방세 포함 최고세율 49.5%까지 부과한다. 이에 대주주는 세금 부담에 배당보다 사내 유보금 등을 선호하게 되면서 배당 유인을 떨어뜨린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증권가에서는 최근 5년 평균 배당성향이 35% 이상이면서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은 지주사, 배당성향을 높일 유인이 있는 기업 등을 수혜주로 꼽았다. 배당성향 35%를 최소 3년 이상 유지한 곳은 제일기획, KT&G, NH투자증권, 이노션, 모토닉, 서울보증보험, 케이카 등이다. 5년 평균 배당성향이 35% 이상이고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은 지주회사는 진양홀딩스, 세아베스틸지주, 아모레퍼시픽홀딩스, 휴온스글로벌 CJ, 미스토홀딩스 등이다.
이경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상법 다음으로 뜨거운 논의가 시작될 이슈는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될 것"이라며 "최대주주는 세율 인하 혜택을 받기 위해 배당을 늘릴 유인이 크고, 이미 배당성향이 높은 기업 중에서도 정책 시행 시점에 배당 확대에 나설 수 있는 종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