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국회전자청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달 4일 등록된 '이준석 의원의 의원직 제명 청원'이 전일 최종 동의자 수 60만4630명으로 종료됐다.
이 의원의 제명 청원은 지난 5월 27일 전국에 생방송 된 대선후보 3차 TV토론에서 그가 한 발언이 논란이 되며 시작됐다. 당시 이 의원은 여성 신체에 관한 성폭력 행위를 구체적으로 언급해 공식적인 TV토론 자리에서 할 만한 발언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 의원은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가족 검증을 위해 한 발언이었다고 해명했지만, 그보다는 불필요한 네거티브를 위해 여성 폭력 상황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이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해당 청원은 지난달 4일 공개 5시간 채 되지 않아 5만 명을 돌파하며 심사 요건(30일 이내 5만명 이상 동의)을 충족했다. 그러나 아직 국회 소관위원회 회부 일정은 잡히지 않은 상태다. 제명 관련 심사를 담당하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는 22대 국회 출범 이후 1년이 지나도록 여야 견해차로 구성조차 되지 못했다.
국회의원 제명은 헌법에 따라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가능하다. 국민동의청원을 통해 국회의원이 제명된 전례도 아직 없다.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허은아 개혁신당 전 대표는 전날 페이스북에 "국민은 이미 응답했다. 이제 국회의 차례다. 침묵은 방관이다. 윤리특위가 없어서 손을 놓았다는 핑계는 국민에게 통하지 않는다"며 "당장 윤리특위를 구성하고, 이 사안을 정식으로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