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계 부처와 주요 경제단체, 기업, 업종별 협회, 연구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회의는 미국의 관세조치가 주요 산업·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하게 마련됐다.
앞서 미국 정부는 7일(현지시간) 서한을 통해 한국에 대해 8월 1일부터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지난 4월 2일 발표한 국별관세와 동일한 수준이다.
문신학 차관은 "정부는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상황에서 미국측과 남은 기간 동안 집중적인 협상에 나설 것"이라며 "국익 최우선 원칙 하에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상호호혜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도 미국의 관세 조치 장기화에 따른 어려움 가중을 호소하면서 정부가 미국과의 협상을 타결해 경영 불확실성을 완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 산업부는 "대미 협상과 업계 지원 대책 마련에서 긴밀하게 소통해 업계 의견이 반영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