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내란특검은 언론 공지문을 통해 오전 9시부터 국방부 등 군사 관련 장소 24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특검이 압수수색에 들어간 곳은 경기도 포천 드론사와 국방부, 국군 방첩사령부, 국방부 국방정보본부, 백령도 부대 등으로 알려졌다.
현장에 도착한 검사와 수사관들은 북한 무인기 투입 관련 자료를 확보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들은 서울 용산구 국가안보실과 경기도 소재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 자택 등도 압수수색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지난해 10월께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직접 지시했는지, 또 군이 이를 은폐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개입한 사실이 있는지를 수사중이다.
특검이 입수한 녹취록에는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V(대통령을 의미)의 지시라고 했다', '국방부와 합참 모르게 해야 한다고 했다', '삐라(전단) 살포도 해야 한다', '불안감 조성을 위해 일부러 드론을 노출할 필요가 있었다'는 등의 내용이 포함 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특검은 드론사가 추락 가능성을 알면서도 고의로 전단통을 달아 개조한 무인기를 띄워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려 했다는 의혹도 수사하고 있으며, 군 관계자 진술 등을 바탕으로 작년 10월 북한이 사진을 공개한 무인기 외에도 평양 인근에 추락한 우리 군의 무인기가 한 대 더 있었을 가능성도 조사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은 최근에 군검찰로부터 원천희 국방부 국방정보본부장(중장)사건도 이첩받았다. 원 본부장은 계엄 선포 전날인 지난해 12월 2일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 문상호 당시 정보사령관과 만나 계엄을 논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때문에 특검은 원 본부장을 조만간 소환해 드론 북한 투입과 관련된 조사를 벌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윤 전 대통령이 전격 구속되며 윤 전 대통령의 신병 확보에 성공한 특검은 최근 무인기 관련 작전을 수행하거나, 이를 지원한 부대 여러 곳을 특정한 곳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이날 확보한 자료를 검토한 뒤, 관련자들을 차례로 불러 제기된 의혹들을 조사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