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초격차 확보에 속도…산업육성 워크숍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디스플레이 분야 산·학·연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무기발광 산업육성 얼라이언스'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iLED)는 무기물 기반의 발광소자를 사용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다. 유기소자를 사용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비해 수명, 밝기, 전력효율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2035년까지 320억 달러 규모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현재 OLED 세계 시장에서 초격차를 유지하고 있지만 무기발광분야는 LED칩 등 주요 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국내 소부장 생태계도 아직 미흡하다.

이에 정부는 무기발광 생태계 육성을 위해 올해부터 2032년까지 4840억원을 들여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 시장조사기관인 옴디아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시장과 산업 동향을 공유했다. 학계와 연구계에서는 마이크로 LED 화소기술과 응용제품 기술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연구개발(R&D) 분과회의에서는 참여 전문가들이 각자 과제별로 모여 기술 고도화·사업화 방안을 논의했다.

행사에 앞서 열린 조찬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초격차 핵심기술 확보와 인력양성 △소재·부품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 △장비·부품의 신뢰성 평가 체계 구축 △산·학·연 간 유기적인 협력체 운영 등 무기발광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안들을 제안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무기발광 산업육성 얼라이언스는 무기발광 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협력 플랫폼이자 컨트롤타워"라며 "무기발광 분야에서도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 발굴과 제도적 뒷받침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