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로 17회를 맞은 이번 대회에는 49개국 107개 세종학당에서 온 교원 162명을 포함해 총 300여 명이 모였다. 이들은 최신 교수법을 공유하고 전문성을 강화했다.
김혜경 여사는 영상 축사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는 강렬하고 깊은 울림으로 세계와 소통하고 있다”며 “세종학당 교원들의 헌신 덕분에 한국 문화의 미래가 더 밝아졌다”고 격려했다.
이정우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세종학당 최우수 교원에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여하고, 현장에서 한국어 확산에 기여해온 교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중국 칭다오2, 키르기스스탄 소쿨루크, 콜롬비아 보고타, 대만 타이난 세종학당 등 4개 기관은 2024년 우수 세종학당에 선정돼 공로패를 받았다.
22일부터 23일까지는 세종한국어평가(SKA)와 단계별 적응형 평가(i-SKA), 교육용 앱 활용법, 문화 교육 등 실습 중심의 연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교안 작성 및 수업 사례 발표도 함께 이뤄진다.
이정우 실장은 “이번 대회의 주제인 ‘세상과 만나는 한국어, 미래를 여는 교육자’처럼, 이번 연수를 통해 참가자들이 한국어 확산의 핵심 동력이 되길 기대한다”며 “문체부는 앞으로도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