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의약품 관세' 압박 속…아스트라제네카, 美에 500억 달러 투자

  • 2030년까지 美 제조·연구 역량 확대…수만 개 일자리 창출 전망

  • 로슈, 노바티스, 일라이릴리 등 글로벌 제약사들도 투자 계획 발표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의약품에 고율 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영국계 글로벌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오는 2030년까지 미국에 총 500억 달러(약 69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내 제조·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버지니아주에 신약 제조 시설을 새로 짓고, 메릴랜드·매사추세츠·캘리포니아·인디애나·텍사스주 등에서는 연구개발(R&D) 및 세포치료제 생산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 내 임상시험 공급망도 업그레이드하고, 차세대 의약품에 대한 장기 투자를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은 이번 투자로 수만 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채용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에서 약 1만8000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 직원 수는 약 9만명에 달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해 11월에도 미국에 35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외에도 로슈, 노바티스, 일라이릴리, 존슨앤드존슨, 사노피 등 주요 글로벌 제약사들도 잇따라 미국 투자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이 가운데 스위스계 제약사 로슈는 지난 4월 향후 5년간 미국 내 제약·진단 생산·R&D 시설에 총 5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번 투자 계획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약회사들에 미국에서 판매하는 의약품을 미국에서 더 많이 만들 것을 촉구하며 생산 확대를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 외국산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이르면 이달 말부터 부과할 계획이라며 "우리는 낮은 관세로 시작해서 제약회사들에 1년여 (미국 내 생산라인을) 건설할 시간을 준 다음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이날 아스트라제네카의 투자 계획에 대해 "수십 년 동안 미국인들은 주요 의약품의 해외 공급에 의존해 왔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새로운 관세 정책은 이러한 구조적 약점을 종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으로, 시장 규모는 6350억 달러(약 880조원)에 이른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해 연간 매출의 40% 이상을 미국에서 벌어들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