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전북특별자치도와 시·군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RE100 산업단지를 시범 조성한 뒤, 2027년부터 전국 단위로 확대할 방침이다.
글로벌 탈탄소 전환 흐름을 반영한 핵심 전략 과제로, 이재명 정부의 주요 국정기조로도 꼽히면서, 전북을 비롯한 전남, 울산 등 전국 각지에서 유치전에 뛰어든 상태다.
전북의 경우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사업과 인접한 군산시와 김제시, 부안군이 각자 최적지라며 유치를 선언했다.
김제시는 새만금 배후도시용지 일대의 김제 제2산단을 국가산단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부안군은 서남권 해상풍력(2.46GW)을 바탕으로 농생명용지 7공구를 산업용지로 전환해 RE100 산단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내놓고 있다.
새만금 신항 운영 방식, 동서도로 관할권을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RE100 산단을 놓고 3개 시·군은 또한번의 건곤일척을 눈 앞에 두고 있는 셈이다.
AI가 물리적 환경에서 직접 행동하며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피지컬AI 사업과 관련해서는 전주시와 완주군, 김제시가 주도권 싸움을 펼칠 모양새다.

하지만 최근 입지를 놓고 각 시·군간 미묘한 입장차가 보이고 있다.
전주시는 팔복동의 탄소산업 부지에 유치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김제시는 23일 옛 김제공항부지를 '피지컬 AI 사업의 최적지'로 내세우며 유치전에 본격 뛰어들었다.
완주군의 경우 당초 계획대로 이서에 들어서는 것으로 확신하고 있지만, 지난 11일 피지컬AI 세미나에서 정동영 의원은 “아직 완주로 결정된 것이 아니다”라고 발언한 사실이 뒤늦게 전해지면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문제는 피지컬 AI 사업은 최근 전북의 ‘뜨거운 감자’인 완주·전주 통합이 어떤 식으로 결정되느냐에 따라, 언제든지 입지가 뒤바뀔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지역에서는 피지컬 AI 예산이 완주·전주 통합의 지렛대로 활용되고 있어서다.
이에 대해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RE100 국가산업단지와 AI 기술 발전은 현 정부의 대폭적인 예산 투자가 전망되는 만큼, 전북 시·군이 군침을 흘리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자칫 시·군간 경쟁이 전북만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을 희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북특별자치도와 정치권의 중재가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