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귀국, 美 루비오 면담 불발…패키지딜 '빈손' 우려

  • 대통령실 "공식·비공식 루트를 통해 협상 계속"

 통상·안보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9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통상·안보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9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다음 달 1일 시한이 만료되는 한·미 상호관세 협상 타결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대미 협상을 총괄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나흘간의 방미 일정에도 불구하고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면담을 하지 못한 채 귀국하면서 ‘패키지 딜’이 성과 없이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4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위 실장은 지난 20일 방미 11일 만에 다시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정치권에서는 그의 재방미를 두고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했다.

이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 등도 미국 고위급 회담 참석을 위해 잇따라 출국하면서 한·미 간 포괄적인 패키지 딜 성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기도 했다.

특히 최근 일본, 말레이시아 등 주요국이 시장 개방을 통해 관세를 조정하며 협상을 타진한 사례가 이어지면서 우리 또한 관세는 물론 농수산물·자동차 시장 개방, 국방비 증액 등을 포함한 포괄적 협상을 마무리할 것으로 관측됐다.

하지만 한·미 양국이 25일 워싱턴DC에서 개최할 예정이던 재무·통상 수장 간 ‘2+2 통상협의’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의 긴급 일정으로 취소됐고 위 실장의 루비오 장관 면담 불발 소식이 전해지면서 협상에 차질이 발생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게 됐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미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위 실장 역시 방미 기간에 미 행정부 주요 인사와 만나 우리 정부 입장을 충분히 설명했다”며 “공식·비공식 루트를 통해 협상은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