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 회의 참석한 조태용 전 국정원장, 특검 첫 소환조사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의 ‘VIP 격노’ 회의에 참석했던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이 29일 순직해병특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조 전 원장은 이날 오전 9시 20분께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도착했으며,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받고 있다.

출석에 앞서 조 전 원장은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는 짧은 입장만 밝힌 채 조사실로 향했다.

조 전 원장은 윤 전 대통령이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초동 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회의에 국가안보실장 자격으로 배석한 인물이다. 특검은 당시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한 이후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그 지시가 수사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 전 원장을 상대로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특검은 같은 회의에 참석했던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등으로부터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반면 조 전 원장은 지난해 국회 등에서 “그런 사실이 없다”며 관련 의혹을 부인해왔다.

특검은 조 전 원장이 당시 회의 종료 후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함께 남아 윤 전 대통령과 별도 대화를 나눈 정황과, 해병대 수사단 보고서가 경찰에서 회수된 다음 날인 8월 2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사실에도 주목하고 있다. 조 전 원장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해 김장환 목사와도 연락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관련 의혹도 조사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민영 특검보는 전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에게 수사 결과가 어떻게 보고됐고, 이후 누구에게 어떤 지시를 했는지, 이러한 지시가 수사 방향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등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 전 원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주미대사, 국가안보실장, 국정원장 등 외교·안보 라인의 최고위직을 두루 역임한 인물로, 이번이 채 상병 사건과 관련한 첫 공식 소환조사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 당시에는 소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