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먹거리 가격 오르자 물가 두 달 연속 2%대…폭염에 농산물 하락폭 ↓

  • 7월 소비자물가 동향…전년 대비 2.2% 상승

서울의 한 대형 마트 수산물 코너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 마트 수산물 코너 모습. [사진=연합뉴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석유류 가격이 하락한 반면 고온과 폭우 영향에 농축수산물 가격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낸 영향이 크다. 가공식품도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추세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2(2020=100)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올해 1~4월 2%대 흐름을 보이던 소비자물가 지수는 5월 1%대에 접어들었지만 6월(2.2%) 다시 2%대에 재진입했다. 상승률은 소폭 완화됐다.

지난달 상승했던 석유류 가격은 1.0% 하락 전환했지만 이상기후 여파에 먹거리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고등어(12.6%) 등 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7.3% 올랐다. 신선어개는 7.6% 오르면서 2023년 2월(8.1%) 이후 2년 5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농산물 물가는 0.1% 하락했지만 전월(1.8%) 대비 하락폭이 줄었다. 수박(20.7%) 등 일부 과실 물가가 크게 오른 영향이 크다. 시금치(13.6%), 열무(10.1%), 깻잎(9.5%) 등 폭염에 취약한 품목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거셌다. 전월 대비로도 시금치(78.4%), 열무(57.1%), 상추(30.0%), 배추(25.0%) 등의 가격 상승세가 거셌다.

박병선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채소와 과실 물가가 1년 전에도 높았던 만큼 전년 동월 대비로는 상승폭이 크지 않지만 전월 대비로는 상승폭이 크다"며 "1년 전에 비해 고등어와 조기 생산량이 감소하고 새우 수입 가격이 늘어나면서 수산물 가격도 올랐다"고 설명했다.

출고가 인상 영향 등이 이어지고 있는 가공식품 물가는 4.1% 올랐다. 전월(4.6%)보다는 줄었지만 4%대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 21일 신청이 시작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물가 영향은 아직 미미하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다만 국산쇠고기 물가는 4.9% 뛰며 전달(3.3%)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돼지고기(2.6%), 되지갈비 외식(2.3%) 물가도 전체 물가상승률을 웃돌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박 과장은 "국산 쇠고기 돼지고기는 사육마리가 줄면서 도축 줄어든 영향으로 가격 오르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며 "소비쿠폰 지급 시기가 지난달 하순 경이라서 미미한 영향을 보였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가의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2.3%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로 활용하는 방식인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도 2.0%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5%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대비 0.5%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