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본격화되면서 IBK기업은행의 어깨가 무거워지게 됐다. 경기 악화로 중소기업의 자금난이 심화하고 있는데 미 수출에 따른 관세 부담까지 겹친 탓이다. 이에 기업은행에 애로사항 등 상담을 요청하는 기업이 늘고, 금융지원을 위한 재원 역시 더 빠르게 소진될 것이란 전망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올해 미 상호관세 등 통상환경 관련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총 1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난 석 달간 중소기업에 지원한 금액은 216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지난 5월 84억원이던 금융지원은 6월 764억원, 7월 1316억원까지 불었다.
증가세는 8월부터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정부가 상호관세 협정을 통해 관세율을 15%로 확정해 이달 7일부터 모든 한국산 수입품에 미 상호관세가 부과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은 관세 부과에 따른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상황이 이렇자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IBK기업은행 역할도 자연스럽게 커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증가세라면 연말까지 통상환경 관련 중소기업 누적 지원금은 9000억원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4월부터 전국 영업점에서 운영 중인 상호관세 관련 금융 애로 상담기업 창구 역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지난달 말까지 창구를 통해 접수된 상담 건수는 누적 기준 1만3000건을 넘어섰다. 은행에서는 관세 적용에 따른 마진율 하락 등에 대한 지원 방안을 상담하거나, 수출 기업 애로 분야에 대한 경영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상호관세 외에도 악화하는 중소기업의 경영 개선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테크업 프로그램 △소소한 행복 특례보증대출 등이 있다. 두 프로그램을 통한 올해 상반기 지원한 자금은 누적 4000억원에 달한다.
다만 이같은 중소기업 지원 확대로 IBK기업은행의 건전성 악화 우려는 커지고 있다. 국내 경기 침체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빚 상환 여력이 다해 연체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IBK기업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중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연체 채권) 잔액은 2년 만에 62%가량 늘었다. 2023년 1분기 말 2조4597억원이던 중소기업 고정이하여신은 지난해 1분기 말 3조1834억원, 올해 1분기 말 3조9763억원이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