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기금투자풀 입찰 참여 데드라인이 정해졌다. 하지만 경쟁구도는 아직 '오리무중'인 상태다. 금융당국이 주간운용사 입찰 참여 조건인 사모집합투자업 라이선스를 내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전자격인증 기간으로 정해진 이달 말이 되어야 경쟁구도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 11일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연기금투자풀 주간운용사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RFP·제안요청서)를 게시했다. 입찰 공고에 따르면 개찰일자는 9월 25일까지이지만, 이달 28일까지 정량평가와 라이선스 보유 여부를 등록하는 사전자격인증을 해야 실제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이에 이달 말께 경쟁구도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기존에는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합산한 점수로 주간운용사를 선정했으나 올해에는 정량평가를 통해 자격 인증을 걸치고 이후 정성제안서 등을 제출하고 정성평가(프레젠테이션)를 거치는 것으로 절차가 다소 수정됐다.
이는 제도개편에 따른 후속조치로 보인다. 주간운용사 자격 범위를 기존에는 자산운용사에 국한했으나 올해 초 제도 개편을 통해 증권사까지 확대하면서 상이한 업권을 동일한 정량 조건으로 비교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반영됐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주간운용사 입찰에 참여할 회사들은 아직 불분명한 상태다. 기존에 연기금투자풀 운용을 맡아 온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변 없이 입찰에 참여한다. 하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입찰에 도전할 계획이던 NH투자증권과 KB증권의 지원 가능 여부는 불확실하다. 금융감독원이 주간운용사 자격 조건인 사모집합투자업 라이선스를 제때 내줘야 8월 28일까지 해야 하는 사전 자격 인증을 등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증권사는 지난 3월말~4월초에 걸쳐 라이선스를 받기 위한 사전 작업을 모두 마쳤으나 금융 당국은 이달 들어서야 비로소 인가 절차에 착수했다. 인가를 받기 위해서는 서류 제출 후에도 당국의 실사 등 2주 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연기금투자풀 제도 개편은 기획재정부가 주도했으나 사모집합투자업 인가를 받기 전 자문은 금융위원회, 인가는 금융감독원이 담당하는 식으로 관련 부처가 여럿이다 보니 원활하게 조율이 되지 않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인가 절차가 제때에 마무리된다고 해도 두 증권사 모두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금융 당국의 속도와 별개로 증권사의 자격이 미진하다고 판단하면 인가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기재부가 연기금투자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올해 2월 증권사가 주간운용사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편했던 만큼 금융 당국의 인가 작업 탓에 증권사가 참여하지 못할 경우 원성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연기금투자풀 주간운용사 기간은 4년으로 이번에 입찰에 참여하지 못한 회사는 2029년을 기다려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