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모아주택·타운 일반분양 늘리고 최대 20억 융자 지원

서울시 해명자료 사진서울시
서울시 설명자료 중 일부.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에만 적용했던 '사업성 보정계수'를 소규모 정비모델인 모아주택에도 도입한다. 또 공공기여를 완화하고 일반분양은 늘려 사업성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사업 기간은 최대 2년, 가구당 분담금은 평균 7000만원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이를 통해 모아주택 11만 7000가구를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모아주택 활성화방안'을 발표했다. 

모아주택은 낡은 주택이 밀집한 저층 주거지(10만㎡내외)를 여러 필지 단위로 묶어서 진행하는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다. 2022년 첫 도입 후 현재 116곳에서 모아타운이 추진 중이며, 모아주택은 166곳에서 3만 4811가구가 조합 설립 인가를 받았다. 

시는 우선 재개발·재건축에만 적용했던 ‘사업성 보정계수’를 모아주택에도 도입한다. 서울 평균보다 땅값이 낮은 재건축·재개발 사업지에 대해 임대주택은 줄이고 일반분양 물량은 늘리는 제도다. 모아타운의 93%가 서울 평균 공시지가 이하 지역이어서 대다수 사업지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앞서 선정된 모아타운 12곳에 자체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주민 평균 분담금이 7000만원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간선도로변·역세권 등 기반시설 우수 입지의 경우  준주거지역 상향을 통해 모아주택 7000가구를 추가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 초기 동력확보를 위해 금융지원도 늘린다. 시는 모아주택조합 초기 운영비와 용역비를 최대 20억원까지 직접 융자 지원한다. 공사비는 서울시-SH-금융기관이 협업해 기존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대비 0.6% 낮은 저리로 융자한다. 융자상품은 이르면 내년 중 출시할 계획이다.

행정절차도 대폭 혁신해 그간 이원화됐던 ‘모아타운 관리계획’과 ‘모아주택 건축계획’을 병행수립해 사업 계획 기간을 최대 1년 줄인다.  시와 자치구가 사업성 분석, 조합설립 과정, 조합 사업비 지원을 비롯해 조합설립 동의에 필요한 지원을 펼쳐 사업 기간을 추가로 1년 줄인다.

조합원 50% 이상 동의로 SH와 공동으로 사업을 시행할 경우사업 면적 확대(2만㎡→ 4만㎡), 임대주택 비율 완화(50%→ 30%), HUG 저리융자(1.9%) 등 사업여건 개선을 위한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9일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모아타운 현장 점검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2025819 사진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9일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모아타운 현장 점검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2025.8.19 [사진=연합뉴스]



시는 서대문구 현저동 1-5번지 일대, 이른바 ‘똥골마을’을 1호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 일대는 노후 건축물 비율이 100%, 무허가주택 비율이 85%에 이르는 공·폐가 밀집지역이다. 지난 6월 모아타운 관리계획 승인 후 오는 10월 조합설립인가, 내년 3월 통합심의, 9월 사업시행계획인가를 거쳐 12월 착공을 앞두고 있다. 2029년 12월 366가구 준공이 목표로 5년 내 입주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모아주택과 모아타운은 개발이 진행되지 못하는 노후 저층 주거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울시의 혁신적인 접근”이라며 “그동안 모아타운을 선정하고 확대해 주택공급 기반을 다졌다면, 이제는 모아주택을 실질적이고 더 빠르게 공급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