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총리, 한·일 협력 강화에 "앞으로 가는 깜빡이 켜겠다"

  • "변화한 국제질서 하 한·일 협력 폭과 필요성 넓어져"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 회의에 출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 회의에 출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협력 강화를 약속한 것에 대해 "변화한 국제질서 하에서 한·일 양국 간 협력의 폭과 필요성이 넓어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이 '(대일 정책서) 좌측으로 가지 말고 계속 우측으로 가 달라'고 당부하자 "앞으로 가는 깜빡이를 잘 이렇게 켜놓고 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김 의원이 '과거 정부 정책에 친일 프레임을 씌워놓고 지금 미래지향적 협력을 말한다'는 취지로 지적하자 김 총리는 "과거에는 필요한 지적을 했고, 지금은 현재의 시점에서, 현재의 기초 위에 한일 간 긍정적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일들을 더 적극적으로 찾는 방향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김 총리는 전종덕 진보당 의원으로부터 한·일 정상회담 공동발표문에 과거사 문제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자 "국익을 위한 여러 가지 협상과 외교를 펼쳐 나가야 되는 대통령의 입장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특별히 거론하지 않는 입장에서 다른 논의들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한·일 국교 수교 60주년을 계기로 일본 도쿄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13년 만에 공동언론발표문을 채택하고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약속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식민지배에 대한 일본의 반성이 담긴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계승한다는 내용이 발표문에 담겨 양국 간 협력이 본격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강제징용과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지적되기도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