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향후 동북아에서 북·중·러 대 한·미·일 대립 구도는 더욱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부소장은 이번 열병식은 "북·중·러 간 협력관계가 이전 북·중, 북·러, 중·러 양자관계를 넘어선 전략적 다자 협력관계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시 주석은 톈안먼 망루에서 본인 오른쪽에 푸틴 대통령을, 왼쪽에 김 위원장을 앉게 함으로써 향후 미국의 대중 견제와 한·미·일 안보협력 확대에 맞서 북·중·러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도를 분명하게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시 주석 왼쪽에 서서 열병식 행사장에 입장했고 톈안먼 망루에서도 시 주석 바로 왼쪽에 앉아 높은 의전을 받았다"며 "이는 북한이 중국에서 사실상 '핵 보유국' 대우를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두 핵을 가진 북·중·러 3국의 연대 강화에 한·미·일의 안보 협력 수준도 더욱 높아져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또 김 위원장이 딸 주애를 동반한 것을 두고 본인 후계자임을 시사하는 것과 동시에 소원해진 북·중 관계를 다시 최고 수준으로 격상하려는 김 위원장 의도가 깔린 것으로 평가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북한) 후계자 내정 관문 과정 중 가장 마지막은 형제 국가의 전승절 행사까지 동행해 형제 국가에 '신고식'을 하는 것"이라며 "내년 1월로 예상되는 9차 당대회에서 후계자 내정을 확정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주애 동행은 '가족 차원의 친밀함'을 더해 최근 북·러 밀착으로 중국 측 불만을 누그러뜨리려는 김 위원장의 계산된 전략"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권력승계는 내부적 안정화뿐만 아니라 주요 동맹국인 중국·러시아의 '외부적 인정'을 통해 공고화되는 전통이 있다"며 "김 위원장이 주애를 '미래 지도자'로 포장해 시 주석은 물론 푸틴 대통령에 사실상 '알현' 시키려는 의도"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