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정청래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두고 국민의힘의 비판이 거세지자 "반성하고 새로 시작하는 모습을 보이면 얼마든지 협치가 가능하다는 뜻"이라고 수습에 나섰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10일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메세지가 강하게 들렸을지 모르나 정 대표의 메세지는 새로운 출발은 과거에 대한 반성부터 해야 된다는 취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내란청산을 하지 않으면 협치가 어렵다는 건 대통령실도 그렇게 생각하는 것인가'라는 진행자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 대통령은 어떤 국민도 다 수용한다, 포용한다, 함께 간다는 취지로 계속 얘기하고 있고 그래야만 하는 자리"라며 "당대표는 자기 색깔을 낼 수 있는 자리라 약간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러면서도 "이 대통령도 협치를 말하지만 정 대표도 협치를 얘기한다. 사과와 반성으로 내란으로부터 자유로울 때 협치가 가능하다고 얘기하지 않았나"라며 "명청(이재명·정청래) 갈등이라고 하는 것은 지나치다. 각자 역할에 따른 메세지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정 대표가) 실제로 전세사기 피해자 보호 등에 대해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한번 해결해 보자는 취지의 약속도 하지 않았나"라며 "발언이 조금 센 것 외에는 크게 문제는 없어 보인다"라고 강조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도 YTN 라디오 '김영수의 더 인터뷰'에 나와 "내란이 종식돼야 국민 통합이 가능한 것"이라며 "내란 종식과 여야 간의 협치, 소통은 서로 상반되는 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내란 종식을 위해서 여야가 같이 힘을 합치자는 얘기"라며 "특히 경제 회복과 관련해 ABCDEF(AI·바이오·문화 콘텐츠·방위산업·에너지·제조업)에서 구체적으로 민생과 경제 회복에 대한 얘기들도 많이 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내란 종식은 국민들이 다 바라는 바이기 때문에 국민의힘에서도 내란과 절연하고 불법 비상계엄과 관련된 각종 특검 수사에 협조하는 모습들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