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찾는 통상본부장 "국익 부합하는 결과 만들기 위해 최선"

  • 김정관 장관 이어 고위급 릴레이 방문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미국과의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출국장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미국과의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출국장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국익에 부합하고 합리적인 협상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15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한미 양국이 투자 방식과 수익 배분을 두고 이견이 큰 것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방미길에 나선 여 본부장은 미국 워싱턴 D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 미국 통상 당국 관계자 등을 만나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방미는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미국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면담을 마치고 귀국한 뒤 하루 만에 이뤄지는 고위급 릴레이 출장이다.

여 본부장은 김정관 산업부 장관에 이어 미국을 방문하게 된 상황과 관련해 "상황이 급박하기보다는 우리 정부도 전방위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이해해 달라"고 설명했다.

한미 간 관세 협상 타결 지연으로 최대 대미 수출품목인 자동차가 25% 고율 관세를 적용받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 "균형적인 협상 결과와 공정한 협상 결과를 만들기 위한 협상의 과정이라고 봐주시면 될 것 같다"며 "최대한 노력을 하면서 국익에 최대한 부합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 과정상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농산물 추가 개방 문제가 한미 관세 협의와 관련한 후속 논의에서 다뤄질 수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농산물 신규 개방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합의를 통해 한국이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는 대신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협의는 아직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다.

지난 7일(현지시간) 한국 실무 대표단이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해 미국 무역대표부(USTR), 상무부 등과 만나 실무 협의에 나섰지만 대미 투자 관련 쟁점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