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태성 한국배터리협회 상근부회장은 사용 후 배터리 산업화가 늦어지면 국내 배터리의 글로벌 경쟁력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법·제도 정비와 산업 투자 확대를 통해 관련 시장을 시급히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17일 아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사용 후 배터리 산업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핵심 광물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원 재활용과 순환경제 구축에도 기여한다. 공급망 안보와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측면에서도 반드시 추진해야 할 과제"라고 설명했다. 현재 관련 법안이 국회에 제출돼 있으나 다부처 규제와 제도 미비로 산업화가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경제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박 부회장은 "전기차 배터리는 7~10년 사용 후에도 70% 정도 잔존 성능을 유지하며 신차 배터리 가격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거래 가능하다. 이를 ESS, 전기자전거,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재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재활용 측면에서도 "리튬은 80% 이상, 니켈·코발트·구리·흑연 등 핵심 광물은 95% 이상을 회수할 수 있으며 품질 또한 광산 원자재와 거의 동일하다"고 강조했다.
법·제도 정비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폐기물관리법, 자동차관리법 등 다부처 규제가 산재해 조기 산업화가 어렵다"며 "사용 후 배터리의 재사용·재제조·재활용을 통합 관리하는 법제가 마련되면 핵심 광물 30~40%를 재활용할 수 있는 순환 생태계를 민간 주도로 조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배터리 산업 경쟁력 확보와 연결하는 것도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글로벌 공급망 경쟁에서 중국과 맞서기 위해 핵심 광물 자립과 친환경 재활용 체계 구축이 필수"라며 "사용 후 배터리 산업화가 조속히 진행될 때 국내 배터리는 기술력뿐 아니라 자원 선순환까지 아우르는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사용 후 배터리 산업화 지원법안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돼야 한다"며 "제도적 지원과 민간 생태계 조성이 동시에 이뤄진다면 국내 배터리는 미래 모빌리티, ESS(에너지저장장치), 차세대 산업 수요까지 아우르며 전략적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