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최근 환경단체가 최근 유엔(UN) 관계자를 몰래 마을에 데려와 주민 없는 가짜 '주민 간담회'를 열려다 들통나 무산됐다”며 “이들의 얄팍한 꼼수와 대국민 사기극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3일 밝혔다.
공투에 따르면 일부 환경단체와 민변 소속 일부 변호사들은 지난 1일 오후 피차몬 여판통 UN 위원장을 석포면으로 데려왔다. 이들은 석포제련소 인근 낙동강 천변을 20~30여 분간 둘러본 뒤 석포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이른바 '주민 간담회'를 진행하려 했다. 그러나 이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주민 약 60여 명이 현장에 모여 강하게 항의했고 결국 간담회는 시작조차 하지 못하고 무산됐다.
공투위는 "환경단체가 간담회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 정식 공문도 아닌 카카오톡 메시지로 석포면 사무소 직원에게 회의실 사용 요청을 했다"며 "간담회에 대한 공식적인 주민 공지도, 참여 요청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일부 환경단체가 주민들 몰래 UN 관계자를 데려와 허위 주민 간담회를 열려 했다는 게 공투위 측 주장이다.
이후 환경단체는 석포역으로 장소를 옮겨 회의를 한 뒤 마치 주민 간담회가 성사된 것처럼 언론에 보도자료를 배포했다고 공투위는 지적했다.
공투위는 "UN 위원장을 내세워 마치 주민 전체가 환경단체를 지지하는 것처럼 꾸며낸 것은 철저한 왜곡이자 국민 기만 행위"라며 "현지 주민은 단 한 명도 참여하지 않은 가짜 간담회를 국제기구에 요식 행위처럼 보여준 건 중대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환경단체와 민변은 존재하지도 않은 간담회를 열었다며 언론에 유포한 모든 자료를 즉시 회수하고 석포 주민들에게 정식으로 사과하라"고 덧붙였다.
임광길 공투위 공동대표는 "환경단체는 2019년 이후 석포제련소가 폐수 외부 무방류 시스템 도입 등 환경 개선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환경이 상당부분 개선된 사실은 무시하고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낙인찍기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UN도 환경단체의 일방적 주장만 듣지 말고 실제 현지 주민들의 절박한 현실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까지 균형 있게 살펴야 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