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의 혜안(慧眼)이 탄생시킨 전국 최초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 [강대웅의 정문일침(頂門一鍼)]

  • 1년 전부터 자체 개발 6개 분야 서비스 나서

  • 공무원의 정형화된 반복적 업무 자동 대신

  • 경기도가 정부의 AI 관련 정책 선도 기대

김동연 지사 사진경기도
김동연 지사. [사진=경기도]
AI 대전환 시대, 미래를 보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안목이 다시 한번 빛났다. 경기도가 지방정부 최초 '생성형 AI 플랫폼' 행정서비스 시작을 알려서다.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은 경기도가 자체적으로 통제·운영 가능한 지방정부 최초 소버린 AI이다.

AI가 스스로 행정 문서를 작성·검색·요약하고 회의록을 자동으로 정리한다. 또 법규·심판 사례를 분석해 의사결정을 지원, 공무원의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대신한다. 따라서 공무원들은 좀 더 창의적인 도정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2025년 11월 4일 자 아주경제 보도).

그리고 일단 행정업무 6개 분야에서 공식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시작했다. 경기도의 이번 ‘생성형 AI 플랫폼’ 서비스 시작은 '최초'라는 상징성 이외에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1년 전만 해도 정부를 비롯해 심지어 관련 부처에서도 AI 대전환 시대를 대처하는 노력이 미진했다.

그러나 김 지사는 달랐다. 누구보다 먼저 중요성을 인식 경기도의 조직부터 바꿨다. 전국 최초 AI국을 신설하고 산하에  AI프론티어사업과, AI산업육성과, AI미래행정과, AI데이터인프라과로 구성된 전문 진용을 갖췄다. 아울러 전문가를 대거 영입, 관련 정책 준비에 나섰다.

AI시대 도민서비스 발굴, AI클러스터 조성, AI전문인력 양성, 데이터 축적 및 개방,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구축 등등. 그동안 추진된 정책의 가시적 효과 속속 나타나고 있다. AI 대전환 시대 김 지사의 미래를 보는 안목이 대한민국 AI 미래를 견인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 지사의 이러한 혜안(慧眼)은 이재명 정부의 AI 관련 정책에도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4일 국회에서 가진 시정연설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정보화의 고속도로를 낸 것처럼, 이제는 인공지능 시대의 고속도로를 구축해 도약과 성장의 미래를 열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AI 대전환 시대를 대비한 이 대통령의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부분이다. 김 지사의 생각도 이와 결을 같이 하는 것이어서 고무적이다. 그렇지 않아도 주권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선언한 바 있다. 또 AI 특화 시범도시 사업 예산을 편성하는 등 AI 생태계 조성과 규제 개선을 통해 기술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런 변화를 비추어 볼 때 김 지사가 이끄는 경기도의 역할과 수혜에 거는 기대가 크다. AI가 가져올 변화의 폭과 속도는 문자 그대로 혁명적이다. 그만큼 인간이 준비해야 하는 분야도 방대하다. 이를 꿰뚫어 보는 안목으로 '경기 생성형 AI플랫폼' 행정서비스를 시작한 김 지사가 앞으로 정부와 또 어떤 AI 관련 '윈-윈' 전략을 세울지 벌써부터 궁금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