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집단 소속 회사 14개↓…비핵심 회사는 빼고 신사업·부동산은 편입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2동 공정거래위원회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2동 공정거래위원회.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최근 3개월간 대규모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가 14개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비핵심 소속회사를 계열 제외한 가운데 신사업 추진을 위한 계열 편입이 이뤄진 것이 특징이다. 부동산 관련 회사에 대한 계열 편입도 활발히 이뤄졌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최근 3개월간(8~10월) 발생한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 변동 현황'을 21일 공개했다.

자산 5조원 이상인 공시대상기업집단인 대규모기업집단은 총 92곳이다. 이 가운데 48개 집단에서 소속회사 변동이 발생했다. 소속회사는 지난 8월 1일 기준 3289개에서 3일 기준 3275개로 14개 감소했다. 

이 가운데 계열 회사설립(신규 34개, 분할 1개)과 지분취득(11개) 등의 방식으로 31개 집단에서 55개 회사가 계열 편입됐다. 반면 흡수합병(15개), 지분매각(18개), 청산종결(14개) 등으로 30개 집단에서 69개가 계열 제외됐다.

특히 한솔·효성(5개), 사조·태광(4개), 다우키움·포스코·한화(3개) 등은 신규 편입이 많았다. 카카오(17개), SK(9개), 이랜드·현대자동차(3개) 등에서는 게열 제외된 회사가 많았다.

대규모기업집단들은 선택과 집중을 기조로 실적이 부진한 사업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미래 성장동력에 집중하기 위해 비핵심 소속회사를 계열제외한 것이다. 일례로 카카오는 게임 개발과 관련해 넵튠 등 10개 회사 등 17개를 계열 제외했다.

특히 사업구조 재편 움직임은 전기차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SK는 실리콘 음극재와 관련해 얼티머스, SK머티리얼즈그룹포틴과 전기차 충전 사업 관련한 SK일렉링크의 지분을 매각했다. LG는 전기차 충전기와 관련한 하이버차저, 포스코는 이차전지와 관련한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을 청산했다.

몸집줄이기 기조 속에서도 기존 사업 확장이나 신사업 추진을 위한 지분취득, 회사설립 등 계열 편입은 활발했다. 삼성은 노인복지시설의 설치·운영을 위한 삼성노블라이프를 설립했다. 포스코는 희귀 특수가스 사업 확장을 위해 켐가스코리아의 지분을 취득하여 계열 편입했다. 

부동산 개발 및 투자 관련 회사에 대한 지분취득, 회사설립 등 계열 편입이 이뤄진 것도 특징 중 하나다. 한화는 부동산 관련 자산운용사인 이음자본운용의 지분을 취득했다. GS는 엣지포인트가산PFV, 신세계는 에스밸류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 한진은 케이웨이프라퍼티 등을 각각 설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