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경의 오션노트] 현대LNG해운 해외 매각 '위기'…K-해운 '에너지 안보' 구멍 커진다

  • 현대LNG해운 인도네시아 기업에 매각 움직임

  • 국내 LNG FOB 물량 28% 책임...수급 우려 有

  • "국적선사 해외 매각 막을 법·제도적 장치 필요"

현대LNG해운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현대LNG해운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국내 최대 액화가스 전문선사인 현대LNG해운의 해외 매각을 두고 해운업계에 에너지 안보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한국은 에너지 자급률이 낮고, 에너지 운송 대부분을 해외 선사에 의지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매각까지 성사될 경우 국가 안보는 물론 산업 경제 측면에서도 타격이 클 것이란 우려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IMM프라이빗에쿼티와 IMM인베스트먼트가 11년 만에 현대LNG해운 투자금을 회수한다. 매각 상대방은 인도네시아 대기업인 시나르마스그룹 계열사다.

현대LNG해운은 HMM(구 현대상선)의 LNG 전용 사업부였다가 2014년 IMM프라이빗에쿼티 등에 인수된 바 있다. 이후 IMM 컨소시엄은 2023년 HMM과 현대LNG해운 거래를 논의했으나 가격 눈높이 차이를 좁히지 못해 매각이 성사되지 못했다. 

현대LNG해운은 12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6척의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1척의 LNG벙커링선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액화가스 전문선사다. 현재 현재 국내 도입 LNG FOB(수입자 운송 책임) 물량의 28%를 수송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매출액은 4605억원이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008억원, 180억원이다. 

이번 인수자는 시나르마스 산하의 해운·자원개발 계열사다. 호주와 아시아 지역에서 자원·물류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현대LNG해운이 새 프로젝트를 확보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다. 

하지만 해운업계에서는 해외 매각에 대한 반대 여론이 커지고 있다. 현대LNG해운이 해외로 넘어가게 되면 우리나라 전략물자 공급망이 위협 받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한국해운협회는 계약 소식이 알려지자 즉각 입장문을 내고 "매각이 성사되면 핵심 에너지 운송자산, 수십년간 쌓아온 노하우, 한국가스공사의 장기계약 수송권 등이 해외로 유출될 것"이라며 "현대LNG해운은 국적선사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회에 따르면 가스공사가 수입하는 LNG의 국적선사 적취율은 2023년 38.2%에서 2029년 12%로 낮아진다. 국내 선박의 운송 비중을 의미하는 적취율은 이후로도 계속 하락해 2037년 0%까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협회는 "현대LNG해운의 매각은 에너지 해상 수송 자립도를 높이려는 정부 정책 기조와도 배치된다"며 정부 차원에서도 매각을 적극 저지해줄 것을 촉구했다.
현행법상 국내 해운사의 해외 매각을 법으로 금지하지 못하지만 매각이 성사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

업계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기간 '해외에너지 운송 선사의 해외 매각 방지'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것에 매각 불발 기대를 걸고 있다. 실제 앞서 지난 2023년에도 유럽 선사들이 현대LNG해운에 관심을 보였지만, 정부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해외 매각을 우려해 거래가 무산된 바 있다. 

일각에선 이번 움직임이 현재 매각을 추진중인 SK해운, 에이치라인해운 등 다른 전략물자 수송선사의 매각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이에 시장에서는 국적선사의 해외 매각을 막을 법·제도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해운업계 관계자는 "LNG 해상운송은 국가 에너지 안보와 직결되는 분야인 만큼, 국적선사의 해외 매각을 시장 논리만으로 판단해선 안 된다"며 "전략자산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최소한의 법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IMM 컨소시엄은 이 같은 우려가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IMM 컨소시엄은 "국내 전체 LNG 수입 물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한국가스공사의 도입량을 기준으로 볼 경우 현대LNG해운의 비중은 6% 이하에 불과하다"며 "회사는 대한민국에 등록된 영리법인으로서 국적 해운사로 지속 운영되며, 주주 변경 여부와 관계없이 국가가 부여한 모든 의무를 그대로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