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폭락장 학습효과 해석
펀드투자자 대부분이 최근 수익률 급락에도 환매에 나설 의사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히려 증시가 더 떨어질 경우 추가투자할 계획이란 것이다.
28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은 이달 8~25일 투자자 941명을 대상으로 한 긴급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수익률이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계획인지'라는 물음에 응답자 50.48%가 반등시점까지 현 투자금액을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저점매수 기회라고 생각해 더 매수한다고 답한 경우도 39.11%나 됐다.
이는 전체 90%가 현 시점에서 환매하지 않겠다고 답한 셈이다.
반면 '일정폭 이상 추가하락하면 환매하겠다'와 '일정폭 이상 추가하락하면 일부라도 환매하겠다'는 응답은 각각 4.46%와 5.95%에 불과했다.
제로인 최상길 전무는 "투자자들은 폭락기였던 외환위기와 2000년 초반 이후 두 차례 회복을 경험했다. 장기투자에 대한 각종 교육과 적립식 투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 전무는 "다만 이번 설문은 인터넷에서 투자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하는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전체 투자자 의견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추가매수 지수대를 묻는 질문에는 '지수 1100초과∼1200이하'가 31.5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수 1200초과∼1300이하' 23.91%였고 1000 이하 18.75%, 1000초과∼1100이하 18.21% 순이었다.
국내주식형펀드 환매 지수대로는 응답자의 41.45%가 '지수 1500 이상'을 꼽았다. 환매의사가 없는 경우도 34.86%나 됐다. 이밖에 '지수 1400초과∼1500이하'와 '지수 1000이하'가 각각 7.97%와 6.16%였다.
국내주식시장 반등시점에 대해서는 전체 46.12%가 내년 1분기라고 답했다. 이어 내년 2분기(25.19%), 내년 3분기(11.90%), 2010년 이후(9.03%), 내년 4분기(7.76%) 순이었다.
조사 대상자 펀드투자자금 규모는 2000만원 미만이 52.50%로 가장 많았다. 2000만∼5000만원은 24.65%이고 5000만원∼1억원 12.54%, 1억원 이상은 10.31%다.
조준영 기자 jjy@ajnews.co.kr
<ⓒ'아주경제'(www.ajnews.co.kr)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