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총장직을 연임, 다시 6개월을 맞은 박범훈 총장(사진)은 전략 방향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내부 구성원들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박 총장은 이와 관련 “그동안 부족했던 연구 인프라 구축 등은 법인 교체로 모두 해결해가고 있다”며 “이제 교수들은 연구 논문을 쓰고 학회활동을 하는 일에 적극 전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총장은 두산법인과 함께 한 1년은 그야말로 변화와 도전, 희망으로 요약했다.
박 총장은 “교육단위 구조개혁에 의한 교육경쟁력 강화, 건설사업을 통한 교육 및 인프라 구축 등 많은 변화가 지난 1년간 이뤄졌다”며 “두산 영입 이후 지난 1년은 변화와 함께 중앙가족 모두에게 도전의식과 미래를 기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교수들의 100% 연봉제 전환에 대해 박 총장은 “자존심 강한 교수들에게 등급을 매긴다는 것 자체가 가혹한 일이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해보자는 열의였다”며 “연봉제의 기보 취지는 교수의 연구역량 향상이고 이는 대학 경쟁력으로 이어진다는 데에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총장은 재단이 바뀌면서 좋아진 최고의 변화는 대학의 모든 구성원이 하나로 모이게 됐다는 점이라고 꼽았다. 박 총장은 “내부 뿐 아니라 밖에서 중앙대를 바라보는 시각도 달라져 교육의 수요자들인 학생과 학부모들이 중앙대의 발전에 거는 기대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박 총장은 연구경쟁력의 근간은 연구공간과 대학원생으로 대표되는 연구인력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박 총장은 대학원 교육프로그램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장학제도를 개선해 우수한 연구인력을 대학원에 유치해 교수들의 연구지원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박 총장은 “교수들의 해외학술활동을 지원하고 외국 학회 임원으로 활동하는 교수들에게 경지지원을 검토하고 있다”며 “외국대학의 교수가 우리학교에서 연구하는 동안 머물 수 있는 제도, 대학원생들의 영어논문작성을 돕는 제도 마련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대학의 글로벌화에 대해 박 총장은 “이미 해외 300여 개 대학과 자매결연한 상태로, 중국 상하이의 푸단대학과는 공동으로 MBA 과정을 진행하고 있고 베이징대학엔 ‘중앙대 한국어학원’을 개설해 놓은 상태”라며 “현재 1000여명의 외국인 학생들이 중앙대에서 공부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더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상권 기자 kwo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