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모터펌프 제조업체인 ○○공업은 지난달 초 본사와 공장을 인천광역시에서 광주광역시 평단공단으로 옮겼다. 사업확장을 위해선 현재보다 다섯 배 큰 부지가 필요하지만 수도권의 비싼 임대료를 감당할 수 없어서였다. 평단공단에 새 둥지를 튼 뒤 회사는 지방 이전에 따른 플러스(+)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기존 인천 공장 1000평의 연간 임대비용인 1500만원으로 평단공단에 5000평 부지를 얻었다. 평당 임차비가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셈이다. 정부로부터 입지보조금 50%를 40년간 받게 되면 임대비용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여기에 법인세 3년 면제, 고용과 신규 투자 등으로 받게 될 보조금까지 직·간접적 혜택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위와 같은 경비절감과 각종 혜택을 받고자 지방 이전을 희망하는 수도권 기업이 늘고 있다. 경기침체 영향으로 정부 보조금 지원을 원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것이다.
23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올들어 각 지자체를 통해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희망 수요를 파악한 결과 올들어 지난달까지 충청도와 강원권을 중심으로 150개 업체가 이전을 계획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경부는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입지와 투자, 고용 및 교육훈련보조금 지원대상에 적합한지 여부를 따져 재정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역에서 3년 이상 사업한 실적이 있고 30명 이상을 상시 고용하는 기업은 사업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전할 경우 부지 매입과 시설 장비 구입, 고용, 교육훈련 등에 보조금이 지급된다.
올해부터는 지원폭도 크게 증가됐다. 이전 건당 보조금 지급한도는 종전 50억원에서 최대 70억원으로 늘었다. 기업이 지방이전을 할 때 토지를 매입하거나 임대할 경우 지원하는 입지 보조금 지원 한도는 종전 매입·임대 비용의 50%에서 70%로 확대됐다. 신규 채용 인원에 대한 고용 보조금도 1인당 50만원에서 60만원으로 늘었다.
정승희 지방기업종합지원팀장은 "지방이전을 완료한 기업들은 보조금 등의 인센티브를 챙길 수 있고 지자체는 기업 유치에 따른 지역 활성화를 꾀하게 된다"며 "지자체의 기업유치 성과는 다시 산업인프라를 갖추는 데 쓰이는 등 긍정적 효과가 많다"고 말했다.
(지경부가 지난해 지방 이전을 완료했거나 이전을 계획하고 있는 17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수조사 결과 전체 70%에 달하는 120개사가 지방이전 결정에 대해 '매우 만족'하거나 '비교적 만족'한다고 응답한 바 있다. 불만을 표현한 회사는 전체 3%에 불과했다. 아울러 지방이전을 완료한 100개사 중 76개사는 현지 생산인력에 대해 만족감을 보여 생산성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정부 보조금을 받은 지방이전기업은 지난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209개 기업에 달한다. 올들어 6월 현재 기준으로도 18개 기업이 작년 상반기 지원액(228억원)보다 2.4배 많은 547억원의 지방 이전 보조금을 신청한 상태다.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