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비자물가 OECD 국가 중 6위...에너지, 식품 물가 때문

우리나라 소비자물가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안정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외국 주요 선진국에 견줘서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통계청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는 지난 8월 전년동기대비 2.2% 올라, 30개 OECD 회원국 가운데 6번째로 높았다.

OECD 평균은 -0.3%였고, 우리나라보다 높은 물가상승세를 기록한 국가는 아이슬란드(10.9%), 터키(5.3%), 멕시코(5.1%), 헝가리(5.0%), 폴란드(4.1%)뿐이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주요 선진국들의 물가는 지난해보다 떨어졌다. 미국 -1%, 일본 -2.2%, 프랑스 -0.2%였고, 선진 7개국(G7)의 평균 물가상승률은 -1%였다.

우리나라는 특히 식품과 에너지 물가가 OECD 평균에 비해 크게 높았다.

우리나라 식품 물가는 5.9%로, OECD 평균 0.1%에 비해 무려 5.8%포인트나 높았다.

30개 OECD 회원국 가운데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에너지 물가 역시 -7.2%로 OECD 평균 -14.4%와 큰 차이를 보였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핵심 물가지수'의 경우에는 우리나라(2.8%)와 OECD 평균(1.5%)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우리나라 물가는 지난해 7월 정부의 고환율 정책 등에 따라 5.9%까지 올랐다가 하향세로 전환, 올해 7월 1.6%까지 내려갔다가 이후 2.2% 수준에 머물러 있다.

수치상 하향 안정세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지만, 지난해 크게 높았던 소비자물가에 따른 기저효과에 기인한 부분이 크고, 부동산 가격 등 자산가격의 상승 등으로 국민들의 체감 물가와는 동떨어져졌다는 비판이 제기돼왔다.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jjong@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