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11일 외무성 성명을 통해 “조선전쟁(6.25전쟁) 발발 60년이 되는 올해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기 위한 회담을 조속히 시작할 것을 정전협상 당사국들에 정중히 제의한다”고 밝혔다.
이날 성명은 “위임에 따라” 이같이 제의했다고 명시해 이번 제안이 북한 최고통치권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결정임을 시사했다.
특히 성명은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회담은 9.19공동성명에 지적된 대로 별도로 진행될 수도 있고, 그 성격과 의의로 보아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조미(북미)회담처럼 조선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의 테두리 내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고 밝혀 주목된다.
이어 "제재라는 차별과 불신의 장벽이 제거되면 6자회담 자체도 곧 열리게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정전협정 당사국들이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전, 비핵화를 진심으로 바란다면 더 이상 자국의 이익부터 앞세우면서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대담하게 근원적 문제에 손을 댈 용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또 “애초에 평화협정은 핵문제와 관계없이 자체의 고유한 필요성으로부터 이미 체결됐어야 한다”며 “조선반도에 일찍이 공고한 평화체제가 수립됐더라면 핵문제도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북한은 올 1월1일 발표한 신년사를 통해 ‘미북관계 개선 및 대화를 통한 평화협정 체결’을 주요한 대외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로써 올 한해 주변국들을 대상으로 대대적 유화공세를 펼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이번 성명 또한 이에 따른 후속 방안인 것으로 풀이된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