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관리대책회의
국내 1인당 강수량, 세계 8분의 1에 불과
수자원 관리 문제가 21세기 핵심 요소로
조화로운 갈등 요소 통합으로 녹색성장
정부와 여당이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를 더욱 강조하고 나서고 있다.
천주교 등 종교계에서 4대강 사업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상황인데다 지방 선거가 약 두달여 남은 상황에서, 여기서 밀리면 정부의 힘이 빠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물부족 문제 해결과 녹색성장을 위해 4대강 사업이 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오전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 참석해 "우리의 1인당 강수량은 세계의 8분의 1인데 수자원이용률은 27%"라며 "물 관리 문제가 21세기에는 핵심적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환경과 경제는 대립이 아닌 조화와 통합, 보완을 이뤄야할 가치"라며 "내재된 갈등요소를 조화롭게 통합하는 녹색성장이란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도 나섰다. 박형준 청와대 정무수석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4대강 살리기가 생명과 생태 살리기라는 천주교 정신에 부합한다는 측면을 충분히 설명드리지 못한 책임이 있다"며 "좀 더 이해와 협력을 구하는 설명을 충실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수석은 충분한 설명이 부족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깊이 반성하고 앞으로는 이런 우려가 나오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며 자세를 낮췄다.
앞서 23일 이명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4대강 살리기 등 국책사업에 반발하는 종교계를 적극적으로 설득하라고 지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고위공무원단의 인사에서도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바로 환경부 차관에 문정호 전 환경정책실장 기획조정실장을 임명한 것.
문 차관은 행정고시 24회로 국무총리실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지만 과장승진과 함께 환경부로 옮겨와 수질정책과장, 수질보전국장, 환경정책실장 등 환경관련 자리를 두루 거쳤다.
특히 문 차관은 환경부 내에서도 수질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4대강 특별법 제정과 관련해서도 핵심 인물로 꼽히는 사람이다.
문 차관은 취임사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친환경적으로 추진되도록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 같은 4대강 사업 살리기 추진 노력에 여당인 한나라당도 거들고 나섰다.
이날 열린 한나라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는 정몽준 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및 중진의원 10명 중 6명이 4대강 사업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정 대표는 "정부가 지금 4대강 사업을 주도하기 때문에 주도하는 사람이 먼저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것은 잘못"이라며 "앞으로 더 적극적으로 설명해서 더 많은 대화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희태 중진의원은 "4대강 사업은 순조로운 진행이 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도로아미타불식으로 전개되는 조짐이 (보여) 썩 좋아보이지 않는다"며 "당에서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떤 대책을 세우고 홍보문제에 대해서는 노력하는 새로운 출발을 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정운찬 국무총리도 지난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4대강 살리기는 죽어가는 강을 생명이 살아 숨쉬는 강으로 바꾸는 역동적인 생명운동이자 환경운동"이라고 홍보했다.
하지만 천주교 등 종교계의 반발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조해붕 천주교 신부는 "청와대와 정부 여당이 천주교의 4대강 사업 우려 표명 본질을 잘못 해석한 것 같다"며 천주교 연대가 야당이나 시민단체와 공동전선을 펴거나 정치에 참여한다는 시각에 대해 반박했다.
조 신부는 이어 "국책사업이 이렇게 잘못된 모습으로 가고 있는 것을 우려하면서 그만큼 내용이 심각하고, 일반적인 법 절차 등을 지키지 않았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라며 "선거가 끝나도 우리는 이 사업에 대해 끊임없이 얘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주경제 김종원, 권영은 기자 youngeu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