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5일 기준 국내 주식형펀드 수탁액은 전날보다 5307억원 순유출됐다. 이는 금투협이 펀드 자금유출입 조사를 시작한 2006년 6월 이후 2번째로 많은 규모다.
코스피지수가 1700선을 돌파하면서 원금회복 및 차익실현성 환매가 집중되면서 대규모 자금 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국내 주식형펀드는 지난달 4일 코스피 1600선 안착을 확인한 이후 단 하루(3월22일)를 빼고 모두 자금 유출을 지속했으며 이 기간 3조1535억원 순유출됐다.
지난 한해 동안 국내외 주식형펀드를 빠져나간 돈은 총 10.6조원(상장지수펀드, ETF 제외), 올 들어서도 이미 5조원이 넘는 자금이 순유출됐다.
해외 주식형펀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해외 주식형펀드에서는 24일 연속 자금이 빠지는 등 올 들어 1.8조원이 넘는 자금이 이탈했다.
주식형 펀드 환매 규모가 이처럼 급증함에 따라 금융투자협회는 이날 이사회 산하 집합투자위원회 정례회의 개최하고 '주식형펀드 환매 특별대책반'을 운영키로 결정했다.
대량 환매가 계속될 경우 증시 상승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 환매자금의 단기 부동화로 실물경제 회복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달부터 2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특별대책반은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주식형펀드 상위 5개 운용사 사장단과 상위 2개 판매사 임원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또 금융위원회가 특별대책반의 간사를 맡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을 위해서다.
회의에 참석한 한 운용사 사장은 "업계 자체적으로는 대책을 마련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실효성 있는 대책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감독당국의 참여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별대책반은 매일 운용사별 환매 규모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물론 환매 국면을 타개할 방안을 마련해 정부당국에 건의할 예정이다. 금투협은 또 협회 차원에서 장기간접투자 켐페인을 실시키로 했다.
건의 방안으로는 미국의 '529플랜(Plan)'과 영국의 '아동신탁펀드(Child trust Fund)'처럼 장기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세제혜택 부여와, 판매 활성화를 위한 표준투자권유준칙 개정, 판매사 장기투자 교육 강화 등이 거론되고 있다. '529plan'과 'Child Trust Fund'는 소득세 및 증여세 면제 등 세제혜택이 부여된 어린이펀드로 영국은 이 펀드에 지원금까지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특별대책반을 설치해도 환매를 막을 뾰족한 수가 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의 대량 환매는 위축된 투자심리가 원인인데다 세제혜택도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주경제 김용훈 기자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