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삼성·LG 하반기 인사 기상도 ‘입장 바꼈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7-13 22: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성과 있는 곳에 인사 있다". 삼성과 LG의 인사 원칙이다. 두 그룹의 상반기 실적이 올해 말 정기 인사에 그대로 반영된다면 삼성의 경우 소폭 인사가 LG는 대폭 인사가 불가피하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리고 있는 삼성그룹의 경우 안정 위주의 인사를 기대하고 있는 반면 LG그룹은 대대적인 외과수술이 이뤄질 전망이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하반기 인사를 예단하기는 이르다”면서도 “실적이 전적으로 (인사에) 반영된다면 LG그룹의 인사폭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삼성그룹의 경우 지난해 정기인사와 조직개편으로 이미 상당부분 변화를 준데다, 올해 부문별 실적도 괜찮은 편이어서 판을 바꾸는 인사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삼성그룹의 맏형인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5조원을 넘는 영업이익을 올릴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발표한 실적전망에 따르면 2분기 영업이익은 사상최대를 기록했던 1분기 영업이익보다 13%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9조410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보다 무려 188% 상승이 예상된다.

지난해 말 삼성그룹의 정기인사 때 삼성전자는 최지성 삼성전자 단독 대표의 원톱경영으로 조직에 변화를 줬다. 이전까지 부품과 세트로 나뉘어진 '한지붕 두가족' 살림을 벗어났고, 7개 사업부서를 최 사장이 총괄하도록 했다.

이 같은 인사 결과, 삼성전자는 올 해 상반기에 상대적인 세트의 부진을 부품에서 메우면서 분기 최대 실적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올해 인사에서는 최지성 단독 대표 체제에 변화가 없을 전망된다. 또 3D TV의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의 윤부근 사장 등도 유임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의 주요 전자계열사 중 하나인 삼성전기도 현 박종우 사장체제에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 2015년 글로벌 1위의 전자부품 기업이라는 비전을 선포한 박종우 사장 부임 이후 이뤄낸 탁월한 실적 때문이다.

지난해 1월 박종우 사장 부임 이후 삼성전기는 매 분기마다 매출 기록을 경신, 지난해 5조5000억원의 사상 최대 매출로 세계 7위권 부품회사에서 세계 5위로 도약했고, 올해 1분기에도 1조623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삼성그룹의 하반기 인사 키워드가 ‘안정’이라면, LG그룹은 ‘변화’를 피해갈 수 없을 전망이다. 지난해 정기인사에서 삼성과 LG가 각각 ‘변화’와 ‘안정’을 선택했던 것을 감안하면 1년 사이에 입장이 완전히 뒤바뀐 셈이다.

우선 LG그룹 맏형인 LG전자의 경우 이른바 ‘남용 리더십’이 도마 위에 올랐다. 남용 부회장이 2007년 LG전자의 수장으로 취임한 이래 R&D(연구 개발)에 소홀했고, 그 결과가 현재의 실적 부진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실제로 2007년에서 지난해까지 LG전자의 R&D 투자는 1조7000억원으로 동결됐다는 사례도 제시됐다.

LG그룹측은 구본무 회장이 직접 나서서 “긍정의 힘”을 강조하면서 현 경영진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오히려 현재의 위기를 반증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LG그룹은 지난해 조직 안정에 무게를 두면서 사업본부를 크게 흔들지 않았다. 사업본부장 대부분도 유임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었다.

당시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의 최고경영자를 모두 유임했다. LG의 최고운영책임자를 맡아온 조준호 대표이사 부사장을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시킨 것 정도가 ‘젊은 조직으로의 변화’라는 관점에
서 주목 받았다.

이에 따라 올해 정기인사에서는 대폭적인 인사이동이 예상된다. 지난해 교체 대상으로 거론됐던 남용 부회장이 물러나고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의 경영진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LG안팎의 분위기다.

LG전자의 수장으로는 지난해 거론됐던 구본준 부회장이 유력한 가운데 권영수 대표도 하마평에 오른다.

업계 한 관계자는 “유럽재정 위기 등 하반기 경기 변동 요소가 상존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이 우선이라는 관점에서 경영진의 대폭 교체는 쉽지 않는 측면이 있다”고 전제하고 “다만 실적에 따른 인사를 원칙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실적 하락에 대한 책임을 누군가는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lazyhan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