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 달러 표기 회사채 수익률(단위:%) 출처:딜로직 제공 바클레이스캐피탈 자료 |
23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EU기업들이 올들어 미 달러로 표기되는 '양키'채권 발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시장조사업체인 딜로직에 따르면 올들어 발행된 양키채권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3781억달러를 크게 웃돈 4129억달러로 집계됐다. EU기업이 발행한 양키채권은 2360억달러로 전체의 20%를 차지해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EU기업의 미 채권발행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총 참여기업 773개 중 501곳의 유럽기업이 양키채권을 발행하며 시장을 주도했다.
영국 스코틀랜드왕립은행(RBS)이 지난주 36억달러의 양키본드를 발행,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또 앵글로골드아산티와 러시아철도 등 유럽 외 다른 국가 기업들은 첫 양키본드 발행에 나섰다.
노르웨이 석유회사인 스타토일과 세계 최대 철강업체인 아르셀로미탈은 이번달 미국 채권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힌다고 FT는 전했다.
활황인 미 채권시장과 대조적으로 유럽시장은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마크 르웰-렌 바클레이스캐피탈 유럽기업 대표는 "달러시장의 매력도가 높아지면서 유럽계 발행기관에 의한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대부분의 기업들이 달러시장에 기반을 두고 비미국권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에 미국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 |
||
양키채권 발행액 빨간색: 총 양키회사채 발행액 연두색: 유럽은행 발행액 |
EU기업의 잇따른 미국행은 계속된 초저금리 정책때문이라고 FT는 분석했다. 일례로 미국 최대 정보기술(IT)업체인 IBM의 채권수익률은 1%대로 3년만기 채권에 대한 최저치 쿠폰금리를 제공했다.
진마르크 메르시에 HSBC 유럽 신디케이트 담당 헤드는 "유럽 은행들이 양키본드를 통해 조달금리 차인 소위 '펀딩갭'을 메꾸고 있다"며 "환상적인 비용절감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