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희망홀씨' 대출이 저신용자보다는 고신용자에게 절반 이상 쏠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은행 마다 희망홀씨 대출 실적 중 1~6등급에 대출한 금액이 50~60%이상을 차지하며 7등급 이하 저신용자들은 여전히 은행 문턱을 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권택기 한나라당 의원에게 26일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부산은행 등 5대 지방은행의 희망홀씨 대출 실적 1725억3000만원 중 신용등급 7~10등급에 대출된 금액은 45.8%(790억5000만원)를 차지했다(올해 6월말 기준). 나머지 54.2%가 1~6등급 혹은 무등급에 대출된 것이다.
희망홀씨 대출은 제1금융권에서도 저신용자들을 위한 대출에 힘쓰겠다는 취지로 지난해 3월부터 판매하기 시작했다.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저신용자 또는 연소득 2000만원 이하의 저소득자'가 대출 조건이다.
하지만 은행마다 제각각 다른 대출조건을 제시하며 저신용자들을 배제, 대출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전북은행의 경우 1~6등급 대출이 전체 희망홀씨 대출액 중 63.6%를 차지하며 7등급 이하 대출은 36.4%에 불과했다. 부산은행도 1~6등급 대출이 전체의 61.8%로 7등급 이하 저신용자들을 위한 대출 비중은 38.2%로 나타났다.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은 1~6등급에게 대출해준 비중이 각각 전체의 57%, 50.9%로 집계됐다.
이들 은행은 모두 희망홀씨 대출의 신용등급을 8~9등급 이상으로 한정지어 대출이 가능한 대상을 축소해 놓은 상태다.
지방은행 중 유일하게 대구은행만이 7등급 이하의 대출조건을 내걸어 7~10등급 대출실적이 전체 대출액 중 76.5%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권 의원실 관계자는 "은행권에서 희망홀씨 대출이 고신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익을 내려는 사업이기보다 800만명의 금융소외자들이 은행 문턱을 자유롭게 드나들게끔 하는 게 목적임을 간과하고 있다"며 "금감원은 이에 대해 철저히 조사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sommoy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