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감이 시작된 지 일주일이 지난 10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정태근 한나라당 의원은 이번 국감을 경제 소외계층의 관심을 촉구하는데 주안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 의원은 통화옵션 상품인 ‘키코’ 피해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을 촉구하고, SSM(기업형 슈퍼마켓) 증가에 따른 피해를 제시하는 등 다양한 현안을 집어 실질적인 정책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지난 4일 지식경제부를 상대로 한 국감에서 대기업 ‘몰아주기’로 이어진 지식경제부의 R&D 사업 등을 따져 물으며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을 강하게 몰아붙였던 정 의원은 다음 날 이어진 중소기업청을 상대로 열린 국감에서도 대기업에게 기술을 빼앗기는 중소기업의 현실을 역설하며 해결책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한 중소기업인은 새로운 기술로 대기업과 독점기업을 맺었지만 돌아온 건 관련 기술을 다른 업체에 제공한 대기업이 이미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다”는 사례를 제시하며 “현장에서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고 오히려 중소기업인들은 이를 관행이라고 말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개탄했다.
정 의원은 지난 달 27일 키코 피해 기업들의 흑자도산을 막기위한 ‘수출신용보증 특별법’을 추진한데 이어 키코 가입 업체들이 올해 예상 수출실적이 지난 해에 비해 20%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순이익은 10%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통계치를 발표 하는 등 번 국감이 시작하기 전 부터 꾸준히 중소기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해 왔다.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재직시절 정무부시장으로 정치권에 발을 들인 정 의원은 지난 대선에서 당시 대선후보였던 이 대통령의 수행단장을 거쳐 18대 총선에서 정식으로 국회에 입문한 이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 중 한 명이다.
정 의원은 “키코와 SSM관련 법안도 통계중심이 아닌 현장 중심으로 실질적인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라며 “앞으로 남은 국감 역시 이러한 부분에 중심을 두고 내실 있게 마무리 하겠다”고 밝혔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