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욱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11일 30일을 앞둔 서울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준비모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은 가운데 이 회의에서 환율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서울주재 외신기자 86명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이번 서울 G20회의에서는 각국이 제출한 거시경제정책을 평가하게 돼 있는데 그 과정에서 아마 환율 문제도 포함해 의논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과 중국이 위안화 절상 여부를 놓고 갈등을 벌이는 등 각국 간의 환율 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 대통령이 서울 G20 정상회의를 통해 이 문제를 중재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지금 세계가 이렇게 환율 문제 등 정책에서 서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자국의 이해만 주장하게 되면 결국 보호무역주의로 가게 되고 이는 세계경제를 매우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나는 환율 뿐 아니라 몇가지 현안을 포함해 각국이 자국의 입장만이 아니라 세계 경제라는 입장에서 생각해주면 가능하면 G20 회의 전까지 합의할 수 있다고 보고, 한국은 그런 합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참모들로부터 G20 정상회의와 관련한 첫 번째 정례보고를 받은 자리에서 "서울 G20 정상회의의 실질적인 의미와 효과 등에 대해 국민들이 잘 알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또 "G20 서울 정상회의는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지난번) 토론토 회의, 서울회의, (차기)파리 회의 등 연속적인 선상에서 의의와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에는 서울 삼청동 G20정상회의준비위원회(위원장 사공일)를 직접 찾아 관계부처 장관 등과 함께 제7차 위원회 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회의에는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김인규 한국방송협회 회장, 설치미술가 이불 등 지난 9월 위촉된 민간위원도 참석해 민관이 함께 G20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우선 G20 프레임워크(협력체계), 국제금융기구 개혁, 금융규제 개혁, 글로벌 금융안전망, 개발 등 주요 의제에 대해 기한 내 합의사항을 마무리하고 서울 정상회의에서 구체적 대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각국간 의견 조율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오는 22일-23일 열리는 경주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셰르파(정상대리인) 회의 등을 통해 주요 의제들의 막바지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회의에서는 또 서울 정상회의의 전반적 행사 일정을 확정하고 정상회의장, 환영리셉션·업무만찬장 등 주요 행사장 조성현황도 점검했다.
kyw@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