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마애보살좌상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추진하는 '낙동강 살리기 32공구 공사' 구간 내 낙단보 통합관리센터 부지 조성을 하는 과정에서 지하에서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바위에 보살을 새긴 이 불상이 지난 8일 공사감리단인 ㈜이산을 통해 의성군에 신고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게 됐으며, 이는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바 없는, 새로 확인된 문화재라고 설명했다.
마애보살좌상은 가로 550㎝, 세로 350㎝ 정도의 화강암 벽면에 새겨졌다. 보살상 규모는 높이 220㎝, 너비 157㎝, 얼굴길이 32㎝, 어깨너비 72㎝, 무릎너비 110㎝, 대좌 너비와 높이 157㎝ x 57㎝다.
문화재청은 "머리에 삼산형(三山形) 보관을 쓰고, 눈과 입술을 도드라지게 표현됐다"며 "연약하게 처리한 팔과 생략이 강한 착의(着衣) 형식, 그리고 평면적이면서도 도식적인 연화대좌 등에서 고려전기 지방화한 불상 양식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불상이 발견된 지역은 공사가 중단됐다.
문화재청은 빠른 시일 내에 관계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해 보살좌상의 성격을 밝히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보존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또한 국토해양부와 협의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보존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