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르포] 냉연 가공 업체, 원자재 가격 상승·수요 감소 이중고에 '울상'

   
 
서울 용두동 철강 유통 단지내 가공업체들. 평일 오전임에도 불구하고 문이 닫힌 업체가 군데군데 보인다.

(아주경제 이정화·조영빈 기자) "원자재 가격은 매달 오르는데 제품 가격은 그대로니 힘들 수 밖에. 죽지 못 해 하고 있는 거야."

서울 용두동 철강 유통 단지내 한 가공업체에서 만난 A(65세)씨는 "수 억원이 넘는 가공 기계를 놀린 지 이미 오래"라며 "한창 좋을 때는 9명까지 일했는데 지금은 늙은이 둘이서 어쩔 수 없이 이 일을 하고 있다"고 푸념한다.

100여 곳의 냉연 가공·유통 업체가 밀집해 있는 서울 용두동내 단지내 업체들 대부분이 비슷한 상황이다. 한창 바쁘게 돌아가야 할 강판 가공 기계들은 먼지를 잔뜩 뒤집어 쓴 채 멈춰 서 있다. 평일 오전임에도 불구하고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20여평 남짓한 작업장에 겨우 한·두 명이 작업을 하고 있을 뿐이다. 작업을 하지 않은지 오래 된 듯 먼지가 잔뜩 낀 채 문이 닫힌 업체도 군데군데 보인다.

30년째 냉연을 가공해 자동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는 박문홍씨도 지금 상황은 견뎌내기 힘들다고 말한다.

박씨는 "불과 두 달여 만에 냉연 가격이 t당 5~6만원 올랐다"며 "가격이 오르기 전에는 한 달에 1000t가량을 들여왔지만 가격이 오른 후에는 제품 가격을 맞출 수 없어 지난 달에는 700t 정도밖에 들여오지 못 했다"고 말했다.

이어 "직원 월급 주고 나면 남는 게 없다"고 한숨짓는다.

올해 초 t당 77만원에 공급되던 냉연강판(CR,1mm 기준)이 지금은 20만원 오른 97만원에 공급되고 있다. 원료가가 올랐다고 이를 제품가에 그대로 반영할 수도 없다.

제품공급가를 올리면 수요업체들이 교체해야 할 제품도 교체하지 않고 좀 더 쓰고, 공사 현장은 공정을 늦춰 수급을 조절해 판매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 철강업체에서 18년 동안 경리일을 맡아온 조영화(50세)씨는 "사실상 지금은 마진이 없는 상태"라며 "위에서 원료 단가를 올린 채로 내려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말한다.

대(代)를 이어 철판·스텐레스판 가공업체를 운영하는 김모(43세)씨가 체감하는 상황도 같다.

김씨는 "들여오는 원재료 가격은 오르는데 물건을 주문하는 사람이 제시하는 가격에 맞춰야 하니 1mm를 써야 할 걸 0.8mm를 쓸 수밖에 없다"며 "그러다보니 제품 질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같은 악순환의 문제점으로 최근 몇 년간 끊임없이 오른 원자재 가격도 문제지만 여러 차례를 거쳐야 하는 유통 구조의 문제점도 지적한다.

김씨는 "철강업체에서 만들어진 원자재가 우리한테 오기까지 4~5차례의 유통 업체를 거치며 마진이 50% 정도가 붙는다"며 "대기업은 물건만 만들고 유통업체에 니네가 알아서 팔라고 맡겨 놓을 게 아니라 유통 구조 개선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에 대한 불만도 털어놓았다.

김씨는 "정부가 상생, 상생하지만 아직까지 멀었다"며 "자유경쟁에만 맡겨 놓을게 아니라 중소기업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 자체를 마련하는 등 정부가 적극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문홍씨도 "정부가 4대강 사업등에는 돈을 쓰면서 일반 제조업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듯 하다"며 "경기가 풀리기를 기다릴 수밖에 우리가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고 말했다. 

jh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