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민주당이 이명박 대통령의 18일 라디오·인터넷 연설에 대해 “온 국민이 알고 있고 대통령만 모르는 게 바로 ‘소통’이다”고 강력 비판했다.
이날 이 대통령의 연설은 ‘국민과의 소통’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특정주제를 놓고 진행하던 그간의 형식에서 벗어나 누리꾼(네티즌)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물어온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이춘석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은 오늘 연설에서) 이명박식 ‘소통’ 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줬다”면서 그 내용을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다. 민주당이 대통령의 라디오·인터넷 연설에 대해 직접 비판을 가한 건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먼저 이 대변인은 최근 물가상승과 관련, ‘장바구니 물가는 정부가 철저히 챙겨오고 있다’는 발언에 대해 “이른바 ‘MB물가품목’으로 지정되면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가격이 오른다는 시장의 목소리를 못 들은 것 같다. 참고로 배춧값은 1년 전보다 237% 올랐다”면서 “이명박식 소통은 국민이 가려워하는 부분을 긁어주기는커녕 살짝 침만 바르는 소통이다”고 비꼬았다.
이어 그는 ‘반대 의견에도 귀를 기울여 달라’는 한 누리꾼의 주문에 대해 이 대통령이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비판은 정책을 더 좋게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한데 대해선 “4대강 사업은 헌법, 국가재정법, 환경영향평가법, 문화재보호법, 하천법, 수자원공사법 등 총 11개의 법률을 위반하고 있다. 최근 지방재정법 위반도 추가됐음이 확인됐다”며 “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비판이 필요한지 묻고 싶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그는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은 ‘촛불시위’ 이후 대통령에 대한 비판 글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불거졌다. 또 이번 국정감사에선 경찰이 지난해부터 시민사회단체와 언론 사이트를 24시간 감시해온 게 새롭게 밝혀지기도 했다”면서 “건강한 대화란 틀린 얘기를 했더라도 다소 겸연쩍을 뿐 후환은 없어야 하는 것인데, 이명박식 소통은 정부비판엔 응당 죗값을 물어야 한다는 소통이다”고 거듭 날을 세웠다.
ys4174@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