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애플의 '아이튠스' 같은 글로벌 플랫폼 육성전략을 새로운 성장 화두로 제시했다.
정만원 SK텔레콤 사장은 25일 서울대 SK텔레콤 연구동 내 개방형 상생혁신센터(OIC) 개소식을 겸한 기자간담회에서 "7대 조기 육성 플랫폼 군과 4대 추진방향을 통해 단말기 운영체제(OS)와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칭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회사의 핵심사업으로 발전시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추후 3년간 총 1조원을 투자, 서비스 플랫폼 경쟁력 제고에 집중하는 한편, 미국, 중국, 동남아 시장 등을 대상으로 글로벌 플랫폼 사업 확대에도 주력한다.
정 사장이 밝힌 7대 조기 육성 서비스플랫폼 군은 ▲LBS(T맵) ▲Commerce(m-Payment) ▲메시징(SMS, 네이트온) ▲콘텐츠 유통(음원서비스 멜론, T스토어, TV포털, N스크린 활용 개인미디어콘텐츠 사업) ▲SNS(싸이월드) ▲B2B(헬스, 자동차, 교육, 스마트오피스) ▲범용 플랫폼(모바일광고, 개인화 엔진, 무선사설망 등)이다.
정 사장은 "'페이스북'이나 '구글 맵스(지도)', 애플의 '아이튠스'같이 콘텐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전달하는 그릇이 '서비스 플랫폼'"이라며 "T맵과 T스토어, 문자서비스 등을 응용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의 수준을 넘어 외부개발자와 협력하는 확장형 모델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구체적 실현 방안으로 ▲다양한 서비스 개발이 가능한 '확장성' 확보 ▲개방형 에코시스템 구축 ▲현지 주요업체와의 제휴를 통한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지향 ▲지속적 투자 등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확장성 확보를 위해 SK텔레콤은 T맵, T스토어, 문자메시지 등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가진 서비스들의 기반기술(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공개한다.
이와 함께 서울대 SK텔레콤 연구동 1층엔 외부 개발자들의 창업을 위한 자금과 사무공간, 경영 및 마케팅을 지원하는 개방형 상생혁신센터(OIC)를 구축, 협력 체계를 구체화한다.
SK텔레콤은 1개사당 5천만원의 창업자금 지원과 인센티브 제공, 1인~5인 사무공간 및 각종 경영 지원 등에 나선다. 지원을 희망하는 개인이나 개발자 그룹은 인터넷(http://oic.tstore.co.kr) 신청을 통하면 된다.
앞서 SK텔레콤은 외부개발자의 교육을 위한 'T아카데미', 개발을 위한 단말기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는 'MD테스트센터'도 선보인 바 있다.
정 사장은 "OIC는 서비스 플랫폼 전략 달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개발자그룹을 육성하고 동반성장할 수 있는 에코시스템의 완성"이라며 "확장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서비스 플랫폼 성공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