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대기업 비리수사 '안갯속'…오히려 역풍 직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2-08 00:3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검찰의 한화·태광 등 대기업 비리 수사가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핵심인물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 등 돌발변수가 터져 나오면서 수사자체가 크게 위축된 상태다. 검찰은 당초 그룹의 비자금을 파헤친 뒤 이 자금이 정관계로 흘러들어간 로비의혹을 짚으려 했다. 그러나 원래계획이 틀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먼지털기식’ 수사로 검찰이 오히려 기업활동만 방해했다는 역풍에도 휩싸일 조짐이다.
 
 한화·태광그룹의 비자금 의혹을 캐고 있는 서울서부지검에 적신호가 켜졌다. 한화그룹 수사의 핵심 관련자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된 탓이다. 검찰은 그룹의 전 재무최고책임자(CFO)인 홍동옥 여천NCC 사장이 김승연 회장의 지시를 받아 총 1조원대의 비자금을 관리한 정황을 드러났다고 강조했지만 지난 3일 영장 실질심사를 맡은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검찰은 홍 사장을 구속한 뒤 집중적으로 압박해 김 회장의 비자금 조성 개입 여부를 입증하겠다는 복안이었지만 영장이 기각되면서 당초 전략이 죄다 틀어지게 됐다.
 
 두달 가까이 지지부진한 태광그룹 수사는 비자금 규모조차 제대로 파악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검찰은 지난 10월 13일 장충동 그룹 본사를 압수수색한 것을 시작으로 이호진 회장의 집과 집무실, 계열사·협력사 등 10여 곳을 급습하고 오용일 태광산업 부회장 등 그룹의 최고위직 인사 수십명을 조사했다. 고강도 전방위 수사 그 자체였다.
 
 특히 서울지방국세청의 납세기록과 이 회장 모친인 이선애 그룹 상무의 은행 대여금고 두 곳을 뒤지는 저인망식 수사를 강행했지만 아직 이 회장조차도 소환하지 못한 상태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통상 수사 초기 진행되는 압수수색을 최근까지 이어온 것을 두고 마땅한 증거를 확보치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과 수사가 해를 넘길 것으로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1년 반만에 직접 나선 C&그룹 비리수사도 좀처럼 정관계 로비의혹 규명에 다가서지 못하고 있다. 검찰은 정관계 및 금융권 로비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임 회장을 압박할 목적으로 2007년 C&중공업이 발행한 3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 상환을 막기 위해 주가조작을 직접 지시한 혐의(증권거래법 위반) 등을 추가 기소할 방침이다.
 
 그러나 법원은 첫 공판때 임 회장 측이 요구한 ‘피의자 방어권’ 등을 인정하는 등 만만찮은 법정공방이 예고되고 있다. 결국 임 회장의 비협조로 정관계 로비 의혹을 제대로 수사조차 하지 못한 채 횡령·사기대출·배임 등 임 회장 개인비리 규명차원에서 수사가 종결될 가능성도 커졌다. 대검 중수부가 수사력이 도마위에 오를 수 있는 대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