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시장 조정?…"펀더멘털 굳건…상승기조 변함 없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5-08 16: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中 수요 증가에 공급난 여전…식품가격도 급등세

(아주경제 이지은 기자) 지난주 상품시장이 급격한 조정을 겪었지만, 조만간 랠리가 재개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중국의 강력한 원자재 수요와 원유 공급 부족 등 상품가격 상승을 부추길 펀더멘털에는 변화가 없다는 지적이다.

최근 1달 간 로이터·제프리CRB지수
*금과 원유 등 19개 주요 상품 가격 반영
지난주 상품시장의 조정은 은이 주도했다. 급증하는 투기 및 산업수요로 사상 최고치 경신을 눈앞에 뒀던 은값은 지난주 30% 폭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 운영사인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지난 주말 은 선물거래에 필요한 증거금을 2주 만에 84% 인상한 탓이다.

은값 급락은 미국 경제지표 악화와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동결에 따른 달러화 강세 등과 맞물려 상품가격을 2년래 최대폭 떨어뜨렸다. 국제유가는 일주일새 15% 추락했고, 구리가격은 4% 하락했다. 원유를 비롯한 19개 주요 상품가격을 반영하는 로이터ㆍ제프리CRB지수는 같은 기간 10% 가까이 추락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그러나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과 애널리스트들이 상품시장이 장기적으로 초호황을 누릴 것이라는 기대를 꺾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달 상품시장의 조정 가능성을 경고했던 골드만삭스도 미국의 경제지표에 따라 상품시장이 다시 반등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음달 미국의 2차 양적완화 중단에 앞서 시장의 가장 큰 주목을 받았던 미국의 고용지표가 상당 부분 개선됐다는 점에서 반등 가능성은 그만큼 커졌다고 풀이할 수 있다. 미 노동부는 지난 주말 4월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이 24만4000명 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11개월래 최대폭 늘어난 것이다.

케빈 노리시 바클레이스캐피털 상품 부문 선임 애널리스트도 "지난주 상품시장이 급락했지만, 상품시장이 전환점에 다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며 "강력한 펀더멘털을 기반으로 상품시장은 머잖아 급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상품시장에는 지난 주말 오후부터 일부 투자자들이 다시 몰리면서 구리와 원유, 커피 등의 가격이 장중 저점에서 일제히 오름세로 돌아서며 낙폭을 좁혔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는 국제유가가 공급 부족으로 오는 3분기 배럴당 150 달러에 이를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곡물을 비롯한 식품가격은 상승세를 지속하며 식량대란 우려를 낳고 있다. 이는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산지를 덮친 가뭄이 이어지는 등 기후와 관련한 시장의 펀더멘털에 변화가 없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식품가격의 강세에서 전체 상품시장의 랠리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지난 5일 발표한 4월 식품가격지수는 평균 232로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36% 급등했다. 특히 옥수수 가격은 한 달 만에 11% 급등했다.

압돌레자 아바시안 FAO 이코노미스트는 유럽과 미국에서 건조한 날씨로 인한 경작 지연 및 작황부진이 내년까지 생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올해 곡물 비축량이 2008년 식량대란 이후 최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