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재계 갈등] 정치권 '한탕주의'에 반기업 정서 ‘팽배’-②

  • 정치권 표심 구애에 기업-국민 간 갈등 초래 우려<br/>'파이' 독식한 기업도 '상생경영'에 역할 발휘해야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표심을 의식한 정치권의 대기업 때리기가 확산되고 있어 재계의 피해는 물론 사회적 갈등 확대가 우려된다.

온갖 사회 문제의 책임을 대기업에 전가하는 정치권의 '한탕주의'식 태도가 '재벌=거악'이라는 도식을 형성, 사회 전반에 '반기업 정서'를 자리잡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그동안 성장의 파이를 독식하면서도 사회적 요구를 등한시한 기업이 자초했으며, 앞으로 재벌이 정치권 및 사회의 요구를 전향적으로 받아들여 '나눔 사회' 형성에 역할발휘를 해야 한다는 책임론도 만만치 않게 제기된다.

29일 정치권 및 산업계에 따르면 내년 선거를 앞둔 정치권이 재벌 때리기에 나서고 있다. 소위 헌법 위에 있다는 '국민정서법'을 건드려 여론을 끌어오겠다는 심산에서다.

이와 관련 IT업계의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면 소비자들은 장점을 보기보다는 단점부터 지적하려 든다"며 "소비자들은 기업들을 좋은 재화를 제공하는 대상이 아닌, 자기 지갑의 돈을 빼앗으려는 존재로 인식하는 것 같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선거를 앞두고 기업을 상대로 한 정치권과 언론의 공세가 기업의 이미지를 악화시키고 창업 욕구를 떨어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4·27 재보선에서 진보정당인 민주당이 승리하면서 한나라당도 반기업 노선에 동참, 대기업에 대한 비판수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정부가 지향해 온 'MB노믹스', '비즈니스 프렌들리' 등으로는 내년 총선에서 승리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분위기는 여름철 노동계의 '하투(夏鬪)'와 맞물려 시너지를 내며, 재계를 향한 압박 수위를 점점 더 높이고 있다.

특히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한진중공업 사태를 두고 29일 개최한 청문회에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이 출석하지 않자 고발 등 법적 조치를 검토하는 등 직접적인 제재를 가할 태세다.

일본 대지진 여파에 따라 환율이 요동치면서 경영계획에 고민을 거듭하는 재계로서는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재계의 울분 섞인 목소리에 기업 스스로가 자초한 문제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재계가 장기간 이어진 경기침체를 극복한다는 핑계로 성장의 수혜를 대부분 가져가며 '승자독식 사회'를 만든 주범이었다는 것이다.

그동안 대기업은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강조하면서도 그룹의 문어발씩 기업 확장으로 중소기업 부분까지 사업을 확대해 중소기업을 자리를 빼어 왔다.

이날 국회 지식경제위원회가 주최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공청회'에서 김영환(민주당) 지식경제위원장은 "두부·떡볶이·학원·피자·빵·콜텍시·임플란트·막걸리 등 대기업은 (문어발식 확장으로) 서민 주머니에서 푼돈까지 탈탈 털어가고 있다"며 "재벌가 사촌 동생의 10살 아들, 7살 아들이 지분 100%를 보유해 편법으로 상속하는 일을 비난하는 게 포퓰리스트라면 나는 포퓰리스트가 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