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한나라 전대>홍준표 체제 출범...힘있는 여당 ‘쇄신’ 가속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04 18: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한나라당이 새 대표로 홍준표 전 최고위원을 선택한 것은 4·27 재보선 패배 이후 기존 주류였던 ‘친이(친이명박)’계의 심판과 함께 당 쇄신을 강하게 추진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당 쇄신을 위해선 ‘참신’보다는 ‘경륜’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게 한나라당의 목소리다. 그러면서도 원희룡 전 사무총장 등 40대 3명이 최고위원으로 선출되며 지도부의 ‘세대교체’ 기류도 강했다.
 
 ◆신주류 당권 완전 장악…친서민 정책 추진 가속화
 
 홍 신임 대표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원희룡 전 사무총장과 ‘양강’구도를 형성하며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범친이계가 조직력을 과시하며 원 전 총장을 전방위로 지원하자 홍 대표는 “공천권을 빌미로 계파 투표를 종용하고 있다”고 정면으로 맞섰다.
 
 친이계가 지원한 원 전 총장에 맞서 친박(친박근혜)계와 쇄신파 등 신주류가 홍 전 위원을 선택하면서 줄곧 친이가 점유해온 당권의 세력교체가 완성됐다. 황우여 원내대표 선출로 당의 구심력에 타격을 입은 친이계는 당내 ‘비주류’로 완전히 밀려난 것이다.
 
 홍준표 체제가 출범한 것은 내년 총선에서 최대 격전지가 될 수도권의 불안함을 해소 해줄 ‘전사’가 당에 필요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특히 원 전 총장, 나경원 전 최고위원, 남경필 의원 등 ‘수도권’ 출신이 지도부에 대거 입성 했다는 점도 그만큼 수도권의 내년 총선 승리가 불안하다는 점을 반영한다.
 
 홍 신임 대표도 “열린자세로 당 쇄신을 이끌어 당원 동지에게 19대 총선 필승과 19대 대선 압승을 안겨드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도권 출신 홍 대표 체제가 출범함으로써 당의 ‘서민정책’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홍 대표는 당 서민대책특위 위원장을 역임하면서 이자제한법, 반값아파트 등 친서민.민생 정책을 적극 펴왔다.
 
 홍 대표는 “대기업에 몰린 돈이 밑으로 내려오지 않아 중소기업·소상공인·서민이 고달픈 생활을 하고 있다”며 “서민 모두가 만족하는 강력한 서민정책으로 빼앗긴 표심을 되찾아오겠다”고 주장했다.
 
 향후 당·청 관계와 관련, 강한 여당론이 힘을 받을 전망이다. 홍 대표는 줄곧 수평적 당·청 관계를 넘어서 당이 모든 정책을 주도하고 선도하는 체제를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청와대와 정부, 당 사이에 상시 연락체제도 가동돼 당정청 불혐화음도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당내갈등 봉합 ‘최우선’ 과제
 
 신임 당지도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하다. 우선 국정 주도권 회복을 위해 당내 계파간 갈등을 봉합해야 한다. 이번 전대 과정에서도 구주류·신주류간 계파 대결, 줄세우기 논란이 재연돼 후유증을 남겼다.

특히 지난 5월 원내대표 경선에 이어 당권도 신주류가 승리함에 따라 구주류인 친이계를 어떻게 배려해 당운영에 참여시킬지도 중요한 숙제다.
 
 또 당 쇄신임무도 막중하다. 4·27 재보선 패배로 당내 개혁과 혁신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내년 총선에서 ‘상향식 공천’이 이뤄질지도 주목된다.
 
 특히 추가 감세 철회, 대학 등록금 인하, 대·중소기업 상생 등 정책현안에 대해서도 ‘포퓰리즘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KBS 수신료 인상안 상정에 따른 상임위 점거사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등 정치 쟁점을 푸는 대야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
 
 한나라당 고위관계자는 “이명박 정권 후반기와 내년 총·대선을 치러내야 하는 지도부의 역할과 책임은 막중하다”며 “위기에 빠진 한나라당을 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