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현안으로 기싸움을 벌이던 여야가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에 한 목소리를 내면서 더불어 강원지역 의원들의 어깨에도 힘이 들어가고 있는 것.
◆ 여야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에 ‘한마음’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7일 국회차원의 특위를 구성해 평창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등에 나설 예정이며 각 당 차원의 지원방안 마련에도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한나라당 황우여,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8일 회동을 갖고 국회 ‘평창동계올림픽 지원특별위원회’ 구성과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특별법’제정 등 평창 지원 방안에 대한 구체적 의견 조율을 실시할 예정이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이날 새벽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 직후 평창에서 가진 긴급 당정회의에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대비해서 최고위원들이 모여서 의논한 결과 ‘강원도발전특위’를 즉시 구성하도록 했다”며 “강원도의 동계올림픽 개최를 뒷받침할 수 있는 SOC시설 등 추가로 해야 할 일을 위해 일단 한나라당 최고위원들이 특위 구성을 통해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이에 따라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 및 여주~원주 수도권전철 연장, 원주~강릉 복선 철도, 동해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올림픽 지원 연계 사업 검토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민주당도 오는 11일 손학규 대표와 최문순 강원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최고위원회의를 강원도에서 개최하고 동계올림픽 지원 종합대책을 발표한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대회 개최 여건조성을 위한 교통망 등 기반기설 확보와 관광개발 사업 등에 필요한 예산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며 “금강산관광의 재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올림픽 정신에 부합한 한번도의 평화적 분위기 조성에 앞장 서겠다”고 강조했다.
◆강원지역 의원들은 ‘콧노래’
여야 모두 평창 지원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강원지역 의원들의 콧노래를 부르고 있다.
현재 강원지역 의원 대다수가 초선의원으로 선수(選數)가 짧고 지역 기반이 빈약했으나, 동계올림픽 유치로 지역내 유권자들의 표심을 한 몸에 사게 되면서 내년 총선에서 힘을 받게 된 것.
민주당 호남 지역 의원실 관계자는 “강원지역 대다수가 초·재선으로 그동안 공천 과정에서 탈락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컸을 것”이라며 “평창 동계올림픽 강원지역 개최가 확정돼 현직 의원들이 힘을 받게 됐다”고 풀이했다.
실제로 강원도 지역은 총 8개 지역구로 나뉘며 이중 초선 의원은 권성동·한기호·황영철(이상 한나라당)·박우순·최종원(이상 민주당) 등으로 5명(62.5%)에 달한다.
강원지역에서 3선 이상을 지낸 중진 의원은 4선의 최연희(무소속) 의원과 3선의 송훈석(민주당) 의원 둘에 불과하다.
때문에 강원도는 내년 총선에서 접전이 예상되던 곳이었으나, 동계올림픽 개최지 결정 소식이 전해지면서, 당대 당 대결보다는 당내 공천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현재 강원지역 민심은 동계올림픽을 유치한 지역단체장 및 국회의원들을 현 상태로 유지해야 예산 지원 등 중앙정부의 힘을 받을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2018년까지 무난한 준비와 관광 등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무리한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