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때문에 우리금융의 미국 진출 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12일 국내 및 미국 현지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금융당국은 최근 우리금융의 미국 현지법인인 우리아메리카은행의 경영등급이 기준에 못 미친다는 이유로 한미은행에 대한 지분인수를 승인하지 않기로 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5월 한미은행 지분 51%를 2억4000만달러(약 2640억원)에 인수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하고 미국 금융당국에 승인 신청을 한 바 있다.
그러나 한미은행은 미국 금융당국의 승인이 나기 전부터 증자 계획을 수립하는 등 우리금융과 결별 수순을 밟아 왔다.
한미은행은 지난달 20일 7500만달러 규모의 보통주 공모 발행 계획을 공시했다.
공모 주관사까지 함께 발표하는 등 이미 상당 기간 전부터 증자 전략을 수립해 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한미은행이 우리금융과 맺은 계약에 포함돼 있는 패널티 조항을 무마하기 위해 증자를 추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11월 한미은행과 지분인수 계약 연장에 합의하면서 우리금융이 취득할 지분율이 40% 이하로 하락할 경우 한미은행 측이 불이익 없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조항을 삽입했다.
이번 증자를 통해 한미은행 지분 수가 증가하면 우리금융이 인수에 성공하더라도 지분율이 하락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인수합병(M&A) 실패에 따른 주가 하락을 막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국 금융권 소식에 정통한 한 인사는 “한미은행과 우리금융의 계약이 파기되면 한미은행 주가가 크게 떨어질 수 있다”며 “한미은행 입장에서는 증자를 통해 독자생존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주가를 끌어올리는 수순을 밟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우리금융이 “인수를 진행 중이며 미국 금융당국의 승인도 조만간 날 것”이라고 안이하게 대처하는 사이 한미은행은 이미 계약 파기 이후의 상황을 대비한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있었던 것이다.
특히 일각에서는 우리금융을 비롯한 국내 대형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전략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우리금융의 LA한미은행 인수 실패는 미 금융당국의 결정에 따른 것이지만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할 필요도 있었다”며 “선진국은 국내 금융회사보다 인수합병(M&A)에 대한 경험이 훨씬 풍부한 만큼 정보 수집 및 전략 수립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