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은행들은 유럽 재정위기 확산에 대비해 외화자금을 대거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원은 16일 지난해 12월 중 지방은행을 제외한 16개 은행의 1년 이내 단기 차입금의 차환율(만기연장비율)이 120.3%로 전달(95.9%)에 비해 24.4%포인트 늘었다고 밝혔다.
차환율이 100%를 초과하는 것은 기존에 빌린 돈 외에 새로 자금을 들여왔다는 의미로, 1년 이상 중장기차입 차환율이 174.4%로 7개월 연속 순차입을 기록했다.
특히 금감원에 따르면 단기차입이 늘었지만, 중장기 차입의 만기연장 비율이 훨씬 높아서 차입구조는 개선됐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은 유럽재정 위기의 장기화에 미리 대비하고자 외화자금을 대거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은행들의 외환건전성 지표도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외화자산을 3개월 이내 외화부채로 나눈 3개월 외화유동성 비율이 104.2%를 기록,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잔존만기 7일 이내 외화자산에서 7일 이내 외화부채를 뺀 수치를 외화 총자산으로 나눈 7일 갭비율은 2.5%다.
1개월 갭비율은 2.1%다. 외화유동성 비율, 7일 갭비율, 1개월 갭비율의 지도기준은 각각 85%, -3%, -10% 이상이다.
이와 관련 재정경제부는 일단 글로벌 시장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국내시장이 크게 요동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대신 정부는 3단계 비상계획을 점검·보완해 대외경제환경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필요할 경우 비상계획의 단계를 격상해 가동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현재(1단계)는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해 경제 전반에 자금경색과 실물경기 둔화 흐름이 생기면 정부는 유동성 공급을 늘리고 경기보완적인 거시정책을 펼칠 방침이다.
이어 자본이 급격히 빠져나가고 실물경기가 침체하면 금융기관의 자본을 확충하고 외화를 확보하는 등 금융시스템 안정 조치를 취하고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등 확장적 거시정책도 운용할 계획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유로존 신용강등이 단기적 악재임을 낙관하면서도 유럽국가나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이 추가로 대거 강등되거나 구제금융 신청이 이뤄진다면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질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시장의 눈이 이달 말 열리는 유럽 정상회의로 쏠린 가운데 정상회의에서도 설득력 있는 해법이 나오지 않으면 회의론은 더 증폭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유로존 상황이 악화하면 국제금융시장이 경색되고 유럽 국가들은 한국에 묻어놨던 투자금을 회수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국내 은행들이 유럽 국가에서 빌린 자금은 592억달러.
때문에 국내 외환시장에 달러 가뭄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예고된 신용강등이라는 전망에 낙관하기 보다는 보다 다야한 유동성 대처 방안이 강구되야 할 것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